Contents

FreeTalk
2013.05.28 16:23

지식의 저주..

조회 수 6812 댓글 0
Atachment
첨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urse01.jpg


내가 알고 있는 만큼 상대방도 당연히 알고 있을거라 믿는 지식의 저주


"지식의 저주"란 엘리자베스 뉴튼의 논문에 나오는 심리학 용어다. 엘리자베스 뉴턴은 1990년 스탠포드대학에서 간단한 놀이 관련 연구 논문으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땄다.


그녀는 "두드리는 자와 듣는 자(Tapper and Listener)" 라는 실험을 통해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나면 "그 분야에 대해 모르는 상태"를 상상하기 어렵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그녀의 실험은 한 사람이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으면서 박자에 맞춰 탁자를 두드리고 다른 사람은 그 소리를 듣고 음악을 맞추는 간단한 게임이었다.


curse02.jpg


"두드리는 사람"에게 크리스마스 캐럴과 같이 누구나 아는 노래를 이어폰으로 들려준 다음 박자와 리듬에 맞춰 탁자를 두드리게 했다. 그리고 듣는 사람은 탁자를 두드리는 소리만으로 그 노래의 제목을 맞추게 했다.


두드리는 사람들은 듣는 사람이 적어도 50% 정도는 맞출 것이라 예상했지만 결과는 전혀 달랐다. 120곡을 들려주었는데 제목을 맞춘 노래는 겨우 3곡 뿐이었다.


아는 것이 병이란 말도 있지만  내가 알고 있는 만큼 상대방도 당연히 알고 있을거라 믿는 지식의 저주는 더욱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curse03.jpg


위 실험 결과와 같이 두드리는 자는 듣는 자의 사정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앞선 예시는 비록 설정된 실험이지만 사실 이런 경우는 일상에서도 굉장히 흔하게 발견된다.


시골에 가서 길을 물으면 시골 사람들은 그곳에 오래 살았음에도 조리있게 설명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그들에겐 너무 익숙한 길이어서 풍경의 객관화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한다.


CEO와 직원, 교사와 학생, 기업과 고객, 작가와 독자, 의사와 환자 등 누구도 이 문제를 피해갈 수 없다.


상대방이 모르고 있는 상황에서 무시하거나 가르치기 보다는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지식의 저주에서 풀려나는 방법이다.


누군가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하려 하면 상대방의 입장에서 먼저 헤아리고 서로의 접점을 찾아 대화를 시작할 수 있어야 지식의 저주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5 FreeTalk 무재칠시(無財七施) file hooni 2013.05.28 7689
804 FreeTalk 헉... 진짜 바뀌네.. file hooni 2013.05.28 7663
803 FreeTalk 아무리 봐도 0점은 아닌거 같은데.. file hooni 2013.09.24 7626
802 FreeTalk 머리맡 대화로 아이와 교감하기 hooni 2013.11.05 7624
801 FreeTalk 대학생활 양극화, 젊은이의 꿈을 좀먹다.. file hooni 2013.05.28 7611
800 FreeTalk 신기한 착시현상! ㅎㅎ file hooni 2013.08.16 7603
799 FreeTalk 망하는 제품의 흔한 개발 과정 ㅎㅎ hooni 2013.05.28 7587
798 FreeTalk 우리 몸의 뼈는~ file hooni 2013.11.01 7580
797 FreeTalk 가장 작고 가벼운 짐 file hooni 2013.07.27 7573
796 FreeTalk 역사적인 순간들의 사진.. file hooni 2013.05.28 7522
795 FreeTalk 기술 면접 질문 리스트 2 hooni 2015.03.25 7467
794 FreeTalk 능력을 감추고 바보인척 하기는 힘들다. file hooni 2013.07.10 739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