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2295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학 가라고 차마 말하지 못하는 이유
지금 대학은 어떤 곳인가. 문화 권력이 될 수 있는 대학은 극소수이고, 기회비용 문제가 대학의 목줄을 죄고 있다. 대학은 공동화되었다.

얼마 전 한 지방의 강연에서 만난 아버지는 아들에 대한 걱정이 태산이었다. 중학교 때까지 곧잘 공부를 했던 아들이었다. 그런데 고등학교에 들어가 성적이 수직 낙하한 모양이었다. 근처의 대학에 들어갔는데 아들이 방에 틀어박혀 게임만 하고 나오지를 않더란다. 군대를 다녀오면 좀 나을까 싶었는데 다녀와서도 마찬가지였다.

어느 날 아들이 배관공을 하는 이웃을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몇 달 뒤 아들은 대학을 그만 다니고 배관공이 되겠다고 했다. 일단 방에서 나온 것만으로도 대견해서 뭐라고 하지는 않았는데, 정말 아들이 대학을 안 다녀도 되겠느냐고 아버지가 내게 물어왔다. 왜 꼭 대학을 다니게 하고 싶은가를 아버지에게 되물었더니 아버지는 그래도 한국에서 대학은 나와야 사람 구실을 하지 않겠느냐고 우울하게 대답했다.

성적이 최하위권인 일반계 고등학교의 김 아무개 선생은 자기 학교 출신 중에 대학을 마치는 학생을 한 명도 보지 못했다고 한다. 대부분 이름도 잘 모르는 대학에 진학한다. 입시철이 되면 이런 학교에서 원서를 아예 주고 간다. 원서비 같은 것도 없고 내신 중에서 한 학기 한 과목만 본다. 아무나 들어가려고 마음만 먹으면 들어갈 수 있는 셈이다. 그러다 보니 친구 따라 강남 간다고 대학 갈 생각이 없던 친구들도 분위기 타서 간다. 그런데 대학에 들어간 다음에 졸업하는 학생은 없다. 수업을 듣는 것도 몸에 배어 있지 않지만 대학을 나온다고 해서 보장되는 것이 하나도 없고 결국 돈 낭비라는 걸 깨닫는다. 그러면서 “선생님 저 이렇게 살면 안 될 것 같아요”라며 휴학을 한 뒤 남학생들은 군대를 간단다. 휴학은 곧 자퇴다. 대학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univ.jpg
ⓒ그림 박해성

성경이는 자발적 비진학자다. 주변의 친척 형·누나들을 보면서 대학에 왜 가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다. 어릴 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이 따로 있었던 성경은 일찌감치 대학에 진학하지 않겠다고 마음먹었다. 대신 그 돈과 정성을 자기가 하고 싶은 일에 쏟아 부었다. 대학의 가치에 대해 냉소적이지만 의외로 성경이는 나중에는 대학을 가려 한다고 말했다. 다소 의외여서 ‘졸업장이 필요한 것이냐’고 물었더니 그보다는 좀 더 심화된 공부를 하고 싶고, 그런 공부를 하려면 역시 언젠가는 대학에 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대답했다.

이 세 사례는 한국의 대학이 처한 위치와 위상이 어디쯤인지를 가장 잘 보여준다. 첫 번째 아버지가 걱정하는 것처럼 대학은 사회적·문화적으로는 여전히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대학을 나와야만 사회적·문화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한국과 같은 학벌 사회에서 대학은 여전히 강력한 ‘문화 권력’이다.

두 번째 김 선생의 이야기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대학은 거의 껍데기만 남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대학 수는 지나치게 많고 자본은 대학을 졸업한 노동력을 그만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학이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순전히 졸업장뿐이지만 어떤 대학들은 기회비용 측면에서 계산해보면 적자다.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고 있는 한국의 대학

마지막으로 성경이가 말하는 대학은 말 그대로 ‘공부하는 곳’이다. 아무리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을 추구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정도 경험이 쌓이고 나면 사람들은 기술을 넘어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원리’에 대해 궁금해한다. 좀 더 나은 기술을 갖기 위해서라도 이때부터 필요한 것은 원리를 이해하는 일이다. 원리를 이해하고 그 원리를 자신이 응용할 수 있을 때 사람은 자유로워지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자유란 ‘법칙의 바깥’이 아니라 ‘법칙의 활용’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성경이가 말하는 대학이란 바로 이런 원리를 배우고 그 원리를 통해 자유로워지는 기술을 배우는 곳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대학은 이 세 가지 사이에서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고 있다. 과거에는 대학 자체가 권력일 수 있었지만 이제 문화 권력이 될 수 있는 대학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경제적인 기회비용의 문제는 대학의 목줄을 죄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공부하는 곳으로서의 대학은 공동화되었다. 나는 성경이에게 언젠가는 대학에 가는 것이 좋겠다는 말을 차마 할 수 없었다.

[출처] http://www.sisain.kr/19460

?

  1. 대희 디스용 ㅋㅋ

    대희 디스용 ㅋㅋ
    Date2013.10.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947
    Read More
  2. 대한민국에서 돈 자랑 하면 안되는 이유

    얼마 전 직업 소개하는 유투브에서 한 환경미화원 아재가 등장했다. 환경미화원을 추천하느냐는 질문에.. 공무원이라는 안정적인 직장 덕분에 신용대출도 잘 나온다는 것을 언급하면서.. 자산 수준을 노출해버리는 실수를 하심 ㅠㅠ; 어쨌든.. 신용 대출을 통...
    Date2023.12.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97
    Read More
  3. 대한민국에서 가장 저평가된 인물, 김대중

    김대중 전 대통령을 찬양하자는 게 아닙니다. 국민의 정부, 대통령으로서의 김대중, 당연히 완벽하진 않습니다. 못한 부분들 분명 존재합니다. 그러나 친일, 남로당, 독재의 역사를 가진 박정희 조차도 찬양하고 그의 업적은 인정해주자면서 김대중과 같은 인...
    Date2015.08.1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18
    Read More
  4. 대한민국 일처리 방식

    <대한민국 일처리 방식> # 전력난 - 원인: 기업들이 전기를 끌어다 쓰다가 오링날려고 한다. - 해결: 서민들에게 아껴쓰자고 한다. # IMF - 원인: 정부와 기업에서 외화들을 펑펑 쓰다가 문제가 생긴다. - 해결: 서민들의 과소비를 탓한다. # 학교폭력 - 원인:...
    Date2014.02.2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106
    Read More
  5. 대학생활 양극화, 젊은이의 꿈을 좀먹다..

    작성일 : 2009년 9월 4일 이런 씨밸.. ㅠㅠ 대학생 양극화<1>동갑내기 두 대학생의 너무 다른 하루 대학생 종우는 월 40만 원을 내고 수학 과외를 받았다. 종우 주변 친구들 중에서도 전공 성적이 안 좋은 몇몇은 지금도 선배나 대학원생에게 과외를 받는다고 ...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611
    Read More
  6. No Image

    대학생을 위한 웹 개발 공부용 체크리스트

    제가 2012년부터 대학교 3학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들어보니 요즘 전산 관련학과 학생들은 1년 정도 휴학이 기본이라고 하더군요. 원래 개발을 잘하는 친구들이야 알아서 뭔가 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학과에서 배우는 것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
    Date2014.12.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56
    Read More
  7. 대학가라고 차마 말하지 못하는 이유

    대학 가라고 차마 말하지 못하는 이유 지금 대학은 어떤 곳인가. 문화 권력이 될 수 있는 대학은 극소수이고, 기회비용 문제가 대학의 목줄을 죄고 있다. 대학은 공동화되었다. 얼마 전 한 지방의 강연에서 만난 아버지는 아들에 대한 걱정이 태산이었다. 중학...
    Date2014.03.0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295
    Read More
  8. 대부분 호텔에 420호가 없는 이유

    호텔에 가게 된다면 방 번호를 유심히 살펴보자. 아마도 420호가 없는 호텔들이 꽤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420호가 없는 호텔들은 보통 319호 다음에 바로 421호로 넘어가거나 420호를 직접 표기하지 않고 419+1호로 표시한다고 한다. 이렇게 하...
    Date2023.09.0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30
    Read More
  9. 대륙의 어린이

    한국 못지 않구나..
    Date2014.11.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33
    Read More
  10. 대륙의 실수!! ‘샤오미’가 만든 가성비 좋은 ‘7가지’ 제품

    via Mi / Facebook 요즘 '대륙의 실수'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가격은 싸면서 성능은 국내 제품 못지 않게 뛰어난 중국 제품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하루가 다르게 입소문을 타며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다. '산자이'(山寨, 모...
    Date2015.03.2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10
    Read More
  11. 대단한 911

    우리나라였다면 그냥 뚝! 뚜.. 뚜.. 뚜.. ㅋㅋ
    Date2014.10.2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9
    Read More
  12. 당신의 정을 아까워하지 않는 이에게 더 이상 사랑을 주지 마라.

    당신의 정을 아까워하지 않는 이에게 더 이상 사랑을 주지 마라. 그 사람은 그냥 그 정도였을 뿐이었고 그냥 그 정도만 주면 되는 것이다. 사랑 받아야 하는 사람은 사실 당신이니까..
    Date2016.05.2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