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552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developer.jpg



한국의 개발자들은 항상 바쁘다. 소프트웨어 개발을 하느라고 바쁜 것이 아니라 쓸데없는 일에 바쁜 것이 문제다. 회사마다 차이는 있지만 많은 회사에서 개발자들은 본연의 개발 업무보다 불필요한 다른 일에 바빠서 정작 본연의 임무인 개발에 투자하는 시간이 얼마 안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개발이라 함은 코딩뿐만 아니라, 분석, 설계, 리뷰 등 개발에 필요한 일련의 활동을 모두 말한다.


한국 회사들의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선진 소프트웨어 회사보다 낮은 이유 중 하나는 개발자들이 개발에 전념하지 못하는 환경 때문이다. 


개발자는 고참이 될수록 개발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일 때문에 바빠진다. 어느 회사의 고참 개발자들은 낮 시간에는 코딩을 한 줄도 못하고 남들 퇴근 후에 개발 일을 한다. 낮에는 이 회의, 저 회의 많이 끌려 다니기 때문에 집중해서 개발 관련 일을 할 수 없어 낮시간은 아예 포기하고 밤에 개발을 한다는 것이다.


코딩, 분석, 설계 관련된 모든 일은 대단히 집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간에 다른 일로 방해를 받으면 다시 집중하기 매우 어렵다. 하루 종일 방해 받지 않고 집중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경영자들은 개발자도 시장을 잘 알아야 한다고 말하며 고객을 직접 만나게 하고, 시장 관련 회의에 참석하게 한다. 여러 경영 회의, 전략 회의에도 개발자들을 끌고 다닌다. 그러다보니 개발자들은 보고서도 작성해야 하고 보고 회의도 참석해야 한다.


고참 개발자일수록 이런 회의에 더 많이 불려 다니게 된다. 어쩔 때는 회의에서 꿔다 놓은 보릿자루 마냥 앉아 있기만 하면서 “왜 이런 회의를 참석해야 하나” 한탄을 하지만 회사 요구 때문에 빠지기도 눈치가 보여서 그냥 참석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개발자도 시장, 고객, 경영 등 여러 분야에 대해 알아야 한다. 아키텍트나 팀장인 경우 더 잘 알아야 한다. 문제는 시간의 효율적인 활용이다. 이런 회의에 다 불려 다닌다고 더 잘아는 것은 아니다. 문서로 공유해도 되는 내용을 장시간 회의에 앉아서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다.


개발자들은 평가, 교육 활동으로도 많은 시간을 빼앗긴다.  필요한 일들이기는 하지만 너무 많은 시간을 빼앗기는 것이 문제다. 회사 교육담당자는 개발자들에게 교육을 많이 시켜서 도움을 주고 싶어하지만 일괄교육, 집체교육, 의무교육은 개발자들의 개발업무를 방해하는 요소다. 리더 교육을 열심히 한다고 팀장이 뛰어난 리더가 되는 건 아니다. 필요 없는 교육은 아니지만 얼마나 효율적인지는 생각해봐야 한다. 기업에서는 교육보다 실무 자체로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하다. 


회의를 많이 하는 회사일수록 커뮤니케이션이 잘 안되고 누가 뭘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회의가 과도하게 많다는 것은 공유와 협업이 잘 안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대기업에서 개발자가 더 일하기 힘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대기업은 회사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회의도 많고 프로세스도 복잡하다. 정작 진짜 개발하는 시간은 몇시간 안된다. 


그럼에도 대기업이 돌아가는 이유는 우수한 인력과 여유 인력, 자본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50% 퍼포먼스만 발휘해도 회사는 굴러간다. 이런 비효율이 회사가 잘 될 때는 문제가 안되지만, 어려울때는 큰 약점이 된다. 

그런데 중견기업 중에는 이런 대기업 형태를 따라하는 회사들이 꽤 많다. 회사가 커지다보니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해 개발자들의 시간을 점점 빼앗는 것이다. 그러다보면 대기업의 장점인 관리 부문에도 만족하지 못하고 기존의 민첩하고 효율적인 개발 방식도 점점 잃게 된다. 


기본적으로 이렇게 회사에서 개발자들이 개발에 집중하지 못하게 방해를 하는 이유는 개발자를 믿지 못하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초등학생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개발자들이 알아서 자율적으로 제대로 일할 것이라고 믿지 못하기 때문에 결과는 점점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원칙적으로는 개발자는 거의 개발만 해야 한다. 숫자로 얘기를 하면 95% 이상의 시간은 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분석, 설계, 리뷰, 코딩 등 개발 활동에 쏟아야 한다. 중간에 방해를 하지 않도록 프로세스, 시스템이 최대한 뒷받침을 해야한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회의는 10분의 1 정도로 줄여야 한다.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는 사람은 잔뜩 불러서 하는 대규모 회의는 특히 삼가 해야 한다. 괜히 일상적으로 모여서 하는 대규모 회의도 줄여야 한다. 필요한 사람 몇명만 불러서 사안 별로 회의를 하면 된다.그렇다고 개발자가 고객, 시장, 전략을 몰라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최소 시간을 투자해서 공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개발자의 시간은 비싸다. 


실제로 개발자가 하루에 개발에 몇시간을 사용하는지 조사를 해보자. 80% 미만이면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 그런 개발자는 개발을 포기하고 전문 관리자가 되는 것이 낫다. 그렇지 않다면 무엇인 문제인지 찾아서 문제를 제거하고 개발자들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이슈관리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하면 불필요한 회의는 많이 줄일 수 있고, 회의를 하더라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회의를 줄이고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원칙을 지키는 것이 좋다. 


대규모 회의보다는 소규모 회의를 하고, 공유는 시스템으로 하고 의사결정이 필요할 때만 회의를 한다. 회의 전에 내용을 미리 공유해서 짧은 시간에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회의 내용은 관련자 모두에게 즉각 공유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력에서 핵심은 개발자다. 개발자가 많은 시간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경쟁력 향상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이렇게 하면서도 공유,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없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발 문화, 프로세스, 기반 시스템의 역할이다.



[출처]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41013085436




?

  1. 해적은 왜 애꾸눈이 많을까?

    해적들을 보면 안대를 찬 애꾸눈이 많다. 전투를 많이 해야 하니 칼 싸움을 하다가 다쳤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화살을 맞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사실 해적들은 안대를 찬 경우가 많다. 그러면 왜 차고 있는 것일까? 칼 싸움에서 다친 ...
    Date2021.11.2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50
    Read More
  2. 해외여행시 알아야 하는 ‘각 나라별 주의 사항’ 13가지

    해외여행시 알아야 하는 ‘각 나라별 주의 사항’ 13가지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다. 특히 여행자에게 이 말은 각 나라의 문화를 잘 알고 있어야 좀더 순조롭게 여행을 즐길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 나라의 문화를 모른...
    Date2015.05.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08
    Read More
  3. No Image

    항공권

    8/23 8/27
    Date2017.08.2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61
    Read More
  4. 할 일.. 계속 미루는 할 일..

    헉.. 어떻게 알았지? ㅋㅋ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632
    Read More
  5. 한동대 손화철 교수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야 하는데.. 모두가 이미 알고 있으면서 바꾸지 못하는 것들이다. <!-- 왜 학벌주의는 용인하고 입시제도의 공평만 요구하는지, 왜 높은 임대료에는 눈감고 최저임금에는 눈을 부릅뜨는지, 왜 재벌은 선처가 필요하고 노동자는 엄벌이 필...
    Date2019.10.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09
    Read More
  6. 한글이 우수한 10가지 이유

    1. 한글 사용 인구수는 세계 12위 한국어를 모국어로 삼아 쓰는 이의 수는 표준중국어, 에스파냐어, 벵갈어, 영어, 힌디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자바어 다음 프랑스어 앞 12위에 해당한다. 2.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Date2017.02.0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033
    Read More
  7. 한글 인코딩 관련 간단 정리

    한글 인코딩 관련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NHN엔터테인먼트 정성환입니다. 그동한 문자셋과 인코딩과의 관계를 정리한 내용을 공유드립니다.궁금하신분께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문자셋과 인코딩 방법의 관계에 대하여 명료화하자면, 문자셋(Charact...
    Date2015.12.0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79
    Read More
  8. 한국판 "블랙 프라이데이" ?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의 유래와 한국 블랙프라이데이의 할인 상황 신세계백화점이 지난해 11월 미국의 대규모 세일 기간인 ‘블랙 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연 ‘한국판 프라이데이’ 행사. 10월1일부터 2주일 동안 ‘한국판 블랙 프라...
    Date2015.09.3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07
    Read More
  9. 한국전쟁의 패전은 바로 ‘이사람’ 때문입니다

    한국 전쟁 패전 우리나라에서는 이상하게 아이들에게 6.25전쟁 즉 한국전쟁의 패전의 역사를 잘 가르치지 않습니다. 가르치는 것이라고는 “중공군의 ‘인해전술’로 패하였다”라는 말도 안되는 소리라, 이 걸 사실로 믿고 삽니다. 그래서 국민들 중에 한국전쟁에...
    Date2016.07.0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701
    Read More
  10.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여행지 BEST 100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2015년 한국인이 꼭 가봐야할 100선 여행지 입니다. 연재 형식으로 지역별로 나눠서 포스팅 한것을 총정리 했습니다 ㅎㅎ. 잘 기억하셨다가 여행 가실때 참고하세요~ [ #여행가이드 와 카톡친구 맺기 ↓ ↓ ] http://goto.kakao...
    Date2015.11.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99
    Read More
  11. 한국인들이 삼겹살을 많이 먹게된 불행한 역사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왜 이렇게 삼겹살을 많이 먹는 거예요?" 베이컨을 굽던 김영하 작가가 무심결에 한 질문에 뜻밖의 대답이 돌아왔다. 30일 방송된 tvN '알쓸신잡'(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에서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는 우리나라 사람들...
    Date2017.07.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38
    Read More
  12. 한국인 관광객 경고문

    호주에서도 한글만 이런 경고문이 써있던거에 챙피했음.. - 빨대를 가져가지 마시오. - 자판기를 치지 마시오. -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 오죽했으면.. 이라는 생각이 든다.
    Date2014.10.1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