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88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payperlaugh01.jpg


payperlaugh02.jpg


payperlaugh03.jpg


payperlaugh04.jpg


payperlaugh05.jpg


payperlaugh06.jpg


payperlaugh07.jpg


payperlaugh08.jpg


payperlaugh09.jpg


영화나 공연을 보고 ‘돈 아깝다’는 말 많이 하죠. 스페인의 한 극장에서는 공연을 본 뒤 이런 말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웃은 만큼만 돈을 내면 되기 때문이죠. 웃음을 참기 위해 안간힘 쓰는 건 아니냐고요? 오히려 극장 매출이 올랐다네요. 기발한 아이디어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답니다.


미국 시라큐스는 12일(현지시간) ‘페이 퍼 래프(Pay Per Laugh): 코미디 극장이 얼굴 인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관객들에게 요금을 받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페이 퍼 래프는 관객들이 웃는 횟수에 따라 요금을 내는 것입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코미디극장 티트레뉴 클럽에서 영화 티켓 대신 이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스페인정부가 지난해 공연료 세금을 8%에서 21%로 올리자 극장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관객 수가 1년간 30% 줄어들었죠. 티켓 가격을 내려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방법을 찾다가 광고 대행사인 시라노스 맥켄(Cyranos McCann)과 제휴를 맺고 페이 퍼 래프를 시작했습니다.


객석마다 아이패드를 설치했습니다. 아이패드에는 얼굴인식 기술이 들어간 앱이 깔려 있죠. 이 앱이 관객들이 활짝 웃거나 미소를 짓는 순간을 포착합니다. 큰 웃음, 쓴웃음, 작은 미소 등 웃음의 정도와 형태를 구별해 가격을 매깁니다. 한 번 웃을 때마다 0.3유로(약 400원), 한 사람당 최대 24유로(약 3만2000원)까지 부과됩니다. 물론 입장료는 무료이고, 웃지 않는다면 당연히 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관람하는 동안 아이패드에는 현재 웃음 스코어가 기록됩니다. 공연이 끝나면 웃음 횟수와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람객이 35% 증가해서 기존에 비해 공연 당 2만8000유로(약 3785만원)의 이익을 남겼다네요. 현재 유사한 콘셉트의 극장이 생겨날 정도랍니다.


우리 네티즌들의 반응은 뜨겁습니다. “진짜 웃기면 돈도 안 아까울 것 같다” “웃음 스코어를 계속 확인하면서 공연 보면 신경 쓰이지 않을까? 택시 요금 측정기 확인하는 기분일 듯” “미소만 지어도 인식하는 거야? 기발 하네” “난 웃겨도 참을 수 있음. 우리나라에 있으면 0원에 도전해보고 싶다” 등의 글이 이어졌습니다.


지루한 일상이 반복될 때 아무생각 없이 웃고 싶다는 생각하죠. 돈을 내고라도 크게 한 번 웃고 싶을 때도 많고요. 우리나라에도 빨리 생겼으면 합니다.


[참고] http://www.d2c-smile.com/201406232529

[참고]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arcid=0008761774

[참고] https://laughstvshow.com/2016/02/03/pay-per-laugh-stand-up-comedy-tech/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3 FreeTalk 컴퓨터 진화를 이끈 ‘위대한 알고리즘 9’ file hooni 2014.03.20 2305
672 FreeTalk 창의적인 사람들이 일반인들과 달리 하는 18가지 행동 hooni 2014.03.20 2298
671 FreeTalk 자신의 일을 중국 개발자에게 아웃소싱한 개발자(미국) file hooni 2014.03.21 2732
670 FreeTalk 사기꾼 특징 (관상, 말투, 하는 말) file hooni 2014.03.21 4477
669 FreeTalk 아프리카 기니 사람들이 밤에 공항을 가는 이유 file hooni 2014.04.07 3014
668 FreeTalk ‘교육적’이라는 단어가 가장 겁난다. file hooni 2014.04.11 1995
667 FreeTalk 뇌운동.. 좌뇌? 우뇌? 어느쪽을 사용하십니까? file hooni 2014.04.15 2644
666 FreeTalk 왜 프로그래머는 계속 공부하는데도 모자른걸까? file hooni 2014.04.15 2020
665 FreeTalk 엔지니어(개발자)와 일하는 방법 file hooni 2014.04.15 2235
664 FreeTalk 라인 레인저스(LINE Rangers)를 그만 두게 된 이유 file hooni 2014.04.17 3388
663 FreeTalk 위기상황에서의 리더의 중요성 file hooni 2014.04.25 2084
662 FreeTalk '고객은 항상 옳다'라는 말이 옳지 않은 5가지 이유 file hooni 2014.04.25 2512
661 FreeTalk 선장 한 명 탓인가, 그래서 세상은 좋아질까? file hooni 2014.04.26 1970
660 FreeTalk 모든 국민은 자신들의 수준에 맞는 정부를 가진다. 1 file hooni 2014.04.26 4088
659 FreeTalk 노무현 대통령에게 배우는 글쓰기의 정수 file hooni 2014.04.28 2145
658 FreeTalk 관료와 돈, 그리고 대통령의 책임 hooni 2014.04.28 180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55 Next
/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