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57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주 모처럼 친구 10명과 점심을 하면서 냅킨에다 설문조사를 했다. 한국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이냐가 주제였다. 이완구 총리 인준? 30%인 대통령 지지율? 아니었다. 경제민주화나 증세? 그것도 아니었다. 10명 중 6명이 지목한 건 가계대출. 2017년께 몰려올 엄청난 쓰나미에 얼굴들이 굳었다. 그것도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미국 때문에…. 미 경제가 지나치게 강하다는 것이다.


 현재 가계대출은 1060조원. 그나마 기준금리가 2%여서 버티고, 연체율 역시 0.49%로 사상 최저치다. 하지만 눈을 돌려 미국을 보면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진다. 미 실업률은 8년 만의 최저인 5.6%로 완전고용에 가깝다. 지난해 성장률도 2.4%였다. 제로금리와 양적완화, 셰일가스 혁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덕분이다. 물론 미국 인플레는 2%를 밑돈다. 하지만 미 통화 당국은 국제 원유가 급락과 강한 달러의 착시현상으로 본다.


 미국이 신경을 곤두세우는 대목은 시중에 풀린 4조 달러의 유동성으로 인한 자산 버블 가능성. 미 연준이 급속하게 금리를 올린 1994년, 1999년, 2004년의 경우 그 이전 1년간 S&P500 지수 상승률이 각각 11%, 21%, 18%였다. 그런 S&P500 지수가 2013년에 무려 30.5%, 2014년~현재까지 14.5% 치솟았다. 지난해 ‘테이퍼링’이 화두였다면 올해는 단연 금리 인상이다. 미 연준은 금리 인상에 ‘인내한다(patient)’는 표현 삭제의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이 이르면 6월, 늦어도 9월부터 금리 인상에 돌입한다는 관측이 대세다.


 현재 미 기준금리는 0~0.25%. 관건은 얼마나 급속히, 얼마나 많이 올릴지다. 얼마 전 공개된 미 연준 17명의 위원 중 15명에 대한 설문조사는 무시무시한 묵시록이다. 이들은 올해 말 기준금리를 평균 1.125%, 그리고 2016년과 2017년 말의 중간값을 2.5%와 3.625%로 전망했다. 앞으로 2여 년간 무려 3.5%포인트나 올리겠다는 뜻이다. 돌아보면 미국은 1994~95년에 기준금리를 3%포인트, 그리고 2004~2006년에 4%포인트나 확 끌어올린 적이 있다. 그 결과가 아시아 외환위기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였다. 


 과연 한국은 이 쓰나미를 무사히 넘길 수 있을까. 물론 외환보유액 3622억 달러, 지난해 894억 달러의 경상 흑자는 든든한 방어막이다. 하지만 미 금리 인상은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다른 나라들까지 덩달아 금리전쟁을 촉발시켰던 게 과거의 경험법칙이다. 한국은행도 2017년까지 2%포인트 이상의 금리 인상을 피할 수 없을지 모른다. 


 정부는 가계대출에 대해 “괜찮다”고 장담한다. LTV·DTI가 안전판인 데다 가계대출의 65%를 상환 여력이 풍부한 소득 4~5분위가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찬찬히 뜯어보면 구조적 취약성이 눈에 띈다. 우리 가계부채를 미국과 비교하면 평균값과 중간값의 추세가 완전 딴판이다. 아슬아슬한 고위험 대출군이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금융부채가 금융자산을 초과한 137만여 한계가구, 가처분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 부담이 40%를 넘는 234만의 고위험 가구가 바로 그들이다. 대부분 소득 1~2분위 저소득층과 자영업자다. 이들은 평균 3%대의 담보대출을 이용하는 임금근로자와 달리 평균 5%대의 제2금융권 대출에 집중돼 있다.


 물론 미 금리 인상의 최대 피해자는 이머징 국가들일 것이다. 하지만 한국도 금리가 치솟으면 어떻게 될지 끔찍하다. 3인 가구 기준으로 700만 명이 빚을 감당하지 못해 파멸의 구렁텅이에 빠질 수 있다. 우리 자산의 70%가 몰려 있는 부동산이 무사할지도 의문이다. 어쩌면 지금 총리 인준과 대통령 지지율에 넋이 팔린 것조차 사치일지 모른다. 점심 자리에서 일어서며 국제금융을 오래한 증권사 친구가 말했다. “가장 큰 문제는 우리 사회에 2017년까지 내다보는 관제탑조차 없다는 사실이지. 참고로 역사적 경험상 이럴 때 장땡은 ‘자산 유동화’야. 모든 걸 현금화해 꼭 쥐고 있는 것이지. 모두 각자도생한 뒤 그때 다시 보자.” 이 글을 읽는 독자 여러분도 부디 2017년까지 살아남으시길…. 


이철호 논설실장


[출처] http://joongang.joins.com/article/548/17181548.html


?

  1. No Image

    [펌] 2017년까지 모두 살아남읍시다

    지난주 모처럼 친구 10명과 점심을 하면서 냅킨에다 설문조사를 했다. 한국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이냐가 주제였다. 이완구 총리 인준? 30%인 대통령 지지율? 아니었다. 경제민주화나 증세? 그것도 아니었다. 10명 중 6명이 지목한 건 가계대출. 2017년...
    Date2015.02.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70
    Read More
  2. 영어. 미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500 문장

    훌륭한 스승은 꼭 학교의 선생과 학생의 관계에서만 나오지 않습니다.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읽은 책을 통해 훌륭한 스승을 만날수도 있지요. 인터넷이 발달되고 SNS를 통하여 실시간 교감이 통하는 요즘은 우리는 쉽게 자신의 훌륭한 스승을 SNS에서 접하기도...
    Date2015.02.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776
    Read More
  3. HTTP 16년만에 업데이트…“웹 더 빨라져”

    웹 동시 연결 수월, 보안성 향상 (지디넷코리아=백봉삼 기자) HTTP의 업데이트로 웹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을 뜻하는 HTTP는 인터넷의 가장 뿌리 부분을 지원하는 기술 중 하나다. 여기에는 브라우저와 웹 서...
    Date2015.02.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30
    Read More
  4. 페이스북 게시물, 똑똑한 검색 방법

    1. 페이스북 자체 검색 서비스(facebook.com/search.php) 웹페이지 상단에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이 있다. 페이스북 자체에서 제공하는 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중심 결과가 뜬다. 알 수도 있는 친구를 찾는 데는 유용하지만 검색어를 포함한 게시물은...
    Date2015.02.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97
    Read More
  5. No Image

    My dad is a liar! (A child's future is worth every sacrifice)

    이런 아빠가 되어야 한다.
    Date2015.02.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65
    Read More
  6. 학력란에 '무크 수료' 써넣는 시대…'대학 혁명' 시작됐다

    줄어드는 정년·불안한 고용 탓에 필수가 되어버린 자기계발. 직장을 다니며 공부하는 이른바 ‘샐러던트’가 늘고 있다. 취업포털 강사닷컴이 2014년 남녀 9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62%가 “최근 1년간 학원을 다니거나 온라인 교육을 수강...
    Date2015.02.1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91
    Read More
  7. 부모가 되면 다시 느껴지는 것들..

    딸바보가 그렸어~ 라는 책..
    Date2015.02.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95
    Read More
  8. 애플 실적 기사, 사실은 로봇이 작성한 기사

    지난 27일, 애플이 실적발표를 한 날, AP통신발로 애플 실적에 관한 짧은 기사가 하나 떴다. “애플 월스트리트 1분기 전망 상회”라는 기사다. 모두 애플 실적에 놀랐을 뿐, 아무런 이질감도 느낄 수 없었다. 그런데, 이 기사는 좀 특이한 점이 있었다. 기사 말...
    Date2015.02.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6
    Read More
  9. 1년에 10억 개의 기사를 쓰는 ‘워드스미스’를 아시나요?

    야후의 축구 리포트나, NFL, MLB, NBA 경기 관전평, 기상예보, 주식보험 관련 리포트, 에드먼드닷컴의 자동차 설명은 모두 한 사람의 기자가 쓴 기사다. 그 기자의 이름은 워드스미스. 워드스미스가 누구냐고? 워드스미스(Wordsmith)는 수 많은 양의 기사를 대...
    Date2015.02.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1
    Read More
  10. 한 쌍의 부부가 유람선에서 해상재난을 당했는데..

    한 쌍의 부부가 유람선에서 해상재난을 당했는데, 구조정에는 자리가 하나 밖에 없었다. 이 때 남편은 부인을 남겨두고 혼자 구조선에 올랐고, 부인은 침몰하는 배 위에서 남편을 향해 소리쳤다. 선생님은 여기까지 얘기하고는 학생들에게 질문했다. "여러분, ...
    Date2015.01.2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49
    Read More
  11. 균형의 중요성

    늑대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이렇게 크네..
    Date2015.01.2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79
    Read More
  12. 결혼식 검소류 甲

    이런건 칭찬 받아야 함!!
    Date2015.01.2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4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