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FreeTalk
2015.06.23 13:00

문제는 알고리즘이다

조회 수 37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만 명의 회원이 가입한 생활코딩이라는 페이스북 그룹이 있다. 나도 최근에 회원으로 가입했는데, 여러 가지 포스팅 중에서 간혹 알고리즘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는 것을 보게 된다.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알고리즘을 꼭 알아야 하나요?” “개발자에게 알고리즘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이와 같은 내용의 질문이다.

알고리즘이라고 하면 병합정렬, 그래프검색, 동적프로그래밍 등과 같이 구체적인 ‘알고리즘’을 떠올리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아마 질문을 올린 사람도 그런 알고리즘을 염두가 두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의 질문을 “PHP로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있는데 반드시 병합정렬을 알아야 하나요?”처럼 좁은 의미로 해석하면 대답하기가 쉽다. 웹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해서 꼭 병합정렬을 알아야 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이야기하는 알고리즘이라는 것이 그렇게 특정한 ‘알고리즘’을 모아놓은 것을 의미할까. 이 부분이 핵심이다. 제대로 된 답을 구하려면 우선 질문을 제대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메리엄-웹스터 사전에 나와 있는 알고리즘의 정의를 살펴보자.

“a set of steps that are followed in order to solve a mathematical problem or to complete a computer process”

수학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컴퓨터 프로세스를 완결하기 위해서 차례로 뒤따르는 단계의 집합. 이게 알고리즘이다. 여기에서 “단계의 집합”은 “규칙의 집합”이라고 바꿔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알고리즘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규칙을 이해하고 그러한 규칙을 단계별로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질문으로 되돌아가보자.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규칙을 이해하고 그런 규칙을 단계별로 적용하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한가요?” 혹은 “개발자에게 규칙을 이해하고 그런 규칙을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질문을 이렇게 바꾸면 질문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왜냐하면 “규칙을 이해하고 그런 규칙을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프로그래밍이기 때문이다.

올초 지디넷코리아에 실렸던'컴공 전공자가 왜 SW 개발을 못하나'라는 기사가 개발자 사이에서 잠시 회자되었다.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이 회사에 취업했을 때 회사가 원하는 수준의 코딩 실력을 갖추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한 내용이었다. 컴공을 전공한 학생이 대학을 졸업하서 코딩을 하지 못하면 확실히 문제다. 하지만 ‘코딩’이 특정 회사가 요구하는 특정 플랫폼, 특정 언어, 특정 API에 대한 내용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대학은 학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학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것은 특정한 API를 다루는 ‘코딩’ 능력이 아니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규칙을 이해하고 규칙을 단계별로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즉, 코딩이 아니라 알고리즘이다. 코딩은 알고리즘이라는 능력이 겉으로 드러나는 여러 가지 방식의 하나일 뿐이다. 코딩은 외공이고 알고리즘은 내공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은 학생들에게 코딩 능력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즉 알고리즘 능력을 길러주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살에 새긴 문신 같은 코딩 능력은 MOOC, 학원, 스터디 그룹 등을 통해서 필요할 때 얼마든지 배울 수 있다. 지울 수도 있다. 하지만 뼈에 녹아들어 나와 한 몸이 되는 알고리즘 능력은 그 자체로 프로그래머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그렇기 때문에 배워야 하는 시기가 따로 있다. 시기를 놓치면 익히기 어렵다.

요즘처럼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른 시대에는 특정 기술, 플랫폼, 언어, API에 종속되는 코딩 기술의 가치가 전보다 크지 않다. 오히려 낡은 기술을 버리고 새로운 기술을 재빨리 익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전투기의 생명이 빠르게 방향을 전환하는 기동성(maneuverability)에 달려 있는 것처럼, 프로그래머의 생명도 방향전환 능력에 달려있다. 알고리즘은 그러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일종의 “메타-능력”이다.

그래서 미국의 IT 회사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특정 기술이나 API에 정통한 사람을 찾지 않는다. 기본적인 능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즉 알고리즘)을 갖춘 상태에서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해서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을 찾는다. 이런 면들을 생각해보면 실리콘밸리라는 미국드라마에서 해커 느낌이 풍기는 보안전문가와 자바전문가가 아니라 파일을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사람을 주인공으로 배치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을 것이다.

프로그래밍이라는 기술은 이렇게 알고리즘이라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알고리즘이라는 세포의 내부에 존재하는 DNA는 논리다. 만사에 논리적인 사람은 좋은 코드를 작성하지만, 논리적 사고가 결핍되어 있는 사람은 아무리 열심히 ‘코딩’을 배워도 좋은 코드를 작성하지 못한다. 다시 질문으로 되돌아가보자.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알고리즘을 꼭 알아야 하나요?” “개발자에게 알고리즘은 얼마나 중요한가요?”

이제 질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대답을 할 수 있다. 그렇다.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알고리즘이라는 메타 능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알고리즘이 얼마나 중요한가하면 프로그래밍 그 자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 문제는 알고리즘이다.


[출처] http://www.zdnet.co.kr/column/column_view.asp?artice_id=20150622080223

?

  1.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예의 바른 사람들이 꼭 지키는 8가지 규칙

    Manners, Maketh, Man “매너가 사람을 만든다.” 최근 영화 ‘킹스맨’이 큰 인기를 끌며 유행한 말이다. 영화 속 멋진 콜린 퍼스를 따라 하고 싶다면 우산을 펼쳐드는 것보단 ‘매너’를 몸에 익히는 것은 어떨까. 미국의 경제 전문 미디어 아이엔씨닷컴에서 소개...
    Date2015.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39
    Read More
  2. No Image

    멘탈이 강한 사람들의 13가지 특징

    멘탈이 강한 사람들의 13가지 특징 1. 그들은 자신의 환경이나 주변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들은 그들이 처한 환경에 대해 한탄하거나 남들이 그들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해 서운해 하느라 허송 세월을 보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삶이 ...
    Date2015.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59
    Read More
  3. ‘언젠가’라는 병

    완성된 후 뭔가 할려고 하면 이미 시간이 지나버린.. 스타크래프트 할 때 생각나네~ 만렙 채우고 쳐들어 갈려면 이미 늦음 ㅋㅋ 삶의 신호등들은 동시에 초록색으로 바뀌지 않는다. '언젠가'라는 말은 당신의 꿈을 무덤까지 데려가는 병인 것이다. [출처] http...
    Date2015.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31
    Read More
  4. 스타벅스 된장남 멤버십 ㅋㅋ

    된장남 멤버십 카드 ㅋㅋ
    Date2015.06.0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9
    Read More
  5. No Image

    문제는 알고리즘이다

    수만 명의 회원이 가입한 생활코딩이라는 페이스북 그룹이 있다. 나도 최근에 회원으로 가입했는데, 여러 가지 포스팅 중에서 간혹 알고리즘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는 것을 보게 된다.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알고리즘을 꼭 알아야 하나요?” “개발자에게 알고리...
    Date2015.06.2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70
    Read More
  6. No Image

    보그 병신체

    요즘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문체들이 있다. ‘보그 병신체’와 ‘인문 병신체’다. 보그(Vogue)는 유명한 패션 잡지다. 그 한국어판에 나오는 기사 문체가 ‘병신’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 바로 보그 병신체다. 영어나 불어 단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고 토씨만 한글...
    Date2015.07.0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22
    Read More
  7. 당신은 오늘 몇번째 계단까지 올라가셨나요 ?

    질문: 오늘 몇번째 계단까지 올라가셨나요 계단: 밑에서부터 안 할래>못 해>하고 싶다>어떻게 하지?>해봐야겠다>할 수 있어>할거야> 해냈어
    Date2015.07.0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9
    Read More
  8. No Image

    내가 살아보니까 - 장영희

    내가 살아보니까 - 장영희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는다.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
    Date2015.07.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6
    Read More
  9.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지 손가락 끝은 왜 보고 있나

    불가에 견월망지(見月亡指)라는 표현이 있다. 원문을 풀이하면 달을 봤으면 달을 가리키는 손을 잊으라는 뜻이다. 본질을 깨우쳤으면 수단들은 버려야 한다는 의미다. '능엄경'은 견월망지의 핵심을 찌르고 있다. "누군가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켜 보인다면 우...
    Date2015.07.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799
    Read More
  10. 누나와 앵무새

    어머니께서 지병으로 누워 계신지 몇 해가 지날 무렵이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어느 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혔습니다. 마치 돌아오지 못할 여행이라도 떠나는 사람처럼 얼굴에 슬픔이 가득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께...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6
    Read More
  11. 주어진 삶에 대처하는 자세

    한 가정에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 형제의 아버지는 심각한 알코올 중독자였다. 형제의 집에는 술 취한 아버지를 향한 어머니의 고함, 그런 어머니를 향해 퍼붓는 아버지의 주사. 그리고 웃음기 없는 얼굴로 하루를 버텨가는 형제의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그...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0
    Read More
  12. 일본 디즈니랜드 동반자살하는 가족들의 공통점

    어떤 한국사람이 일본 여행을 다녀왔는데 가이드랑 한 방을 쓰게 됐답니다. 가이드랑 친해져서 이런저런 얘기 하다가 가이드가 하는 말이.. 자기가 이 일을 오래 해보니까 느낀 게 사람들이 자살을 너무 많이 한다. 특히 가족 동반 자살이 많은데 일본에 디즈...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