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FreeTalk
2015.07.07 15:14

보그 병신체

조회 수 7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요즘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문체들이 있다. ‘보그 병신체’와 ‘인문 병신체’다. 보그(Vogue)는 유명한 패션 잡지다. 그 한국어판에 나오는 기사 문체가 ‘병신’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 바로 보그 병신체다. 영어나 불어 단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고 토씨만 한글로 적어놓는 문장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게 이런 것이다. ‘뉴 이어 스프링, 엣지 있는 당신의 머스트해브 아이템은 실크화이트 톤의 오뜨 꾸뛰르 빵딸롱’. 한글로 표현해보면 ‘날카로운 감수성을 가진 당신의 새 봄 필수품목은 흰 비단결 같은 고급 양장 바지’ 정도가 아닐까. 전문가 눈에는 이 또한 제대로 된 번역은 아닐 것이다.

인터넷에는 이런 병신체를 꼬집는 게시물이 많다. 이런 표현도 있다. ‘아티스틱한 감성을 바탕으로 뀌틔르적인 디테일을 넣어 페미닌함을 세련되고 아트적인 느낌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예술적 감성을 바탕으로 고급 의상의 섬세함을 넣어 여성적 느낌을 세련되고 예술적 느낌으로 표현합니다’일 것이다. 국내 한 백화점이 입점한 옷 상표를 소개하는 입간판이다. 이 입간판을 찍은 사진을 올린 한 누리꾼은 게시물의 제목으로 “이게 말이야, 방귀야”라고 비웃었다.

인문 병신체는 뭘까. 3년 전쯤 한 포털에 블로그를 운영하는 프랑스 철학 전공자 글이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철학자는 당시 다른 학자의 ‘병신체’ 글을 힐난했다. 그러면서 ‘나의 텔로스는 리좀처럼 뻗어나가는 나의 시니피앙이 그 시니피에와 디페랑스되지 않게 하므로써 그것을 주이상스의 대상이 되지 않게 콘트롤하는 것이다’라는 표현도 가능하다고 비꼬았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 솔직히 모르겠다. 다만 포털에서 그 용어들을 검색해보면 대충 이렇게 풀어놓을 수는 있겠다. ‘나의 본질(끝)은 땅속 줄기처럼 뻗어나가는 나의 기호가 그 의미와 차연되지 않게 함으로써 그것을 즐김의 대상이 되지 않게 조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는 터무니없는 번역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라캉, 들뢰즈, 가타리, 데리다 등 철학자들이 고안·규정한 개념을 설명없이 아무렇게나 나열했기 때문이다.

이 글을 놓고 당시 학자들과 전공자, 그 블로그 구경꾼 사이에서 논란이 일었다. ‘몰라서 저렇게 쓴 것인가, 아니면 알고도 잘난 체하려고 쓴 것인가’가 비판의 중심이었다. 옹호하는 쪽은 ‘블로그 글은 대중을 겨냥해 쓴 게 아니어서 시비 대상이 될 수 없다, 쉬운 글만 읽으면 공부가 되겠느냐, 한글로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워 결국 그 개념대로 써줘야 한다’고 했다.

어느 쪽이 전적으로 옳다고 볼 수 없다. 다만 불온한 태도를 지적할 수는 있겠다. 혹시 ‘난 이런 어려운 것도 알고 있다고 잘난 체하려고’, 아니면 ‘모르면서 아는 체하려고 저렇게 쓴 게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게 패션과 인문학만의 문제뿐일까. 법률 용어도 외계어와 다를 것 없다.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기망하고 기왕증을 누락해’는 ‘거짓 등 옳지 않은 방법으로 속이고 과거 병력을 빼’ 정도로 해석이 될까. 또 의학·건축 등 소위 ‘전문가’들이 있다는 부문에서 이런 ‘병신체’들은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영화나 음악 분야는 어떨까. 한 누리꾼이 올린 인용문이 딱 그렇다. ‘영화란 미적으로 분절화된 텍스트를 감독 특유의 미장센의 정치적 렌즈를 통해 풀어내는…’이란다. 클래시컬, 재즈 음반 해설지에도 ‘병신체’와 번역체 문장이 가득하다.

‘병신’이라는 단어는 ‘불구, 무능, 부족, 불편, 편향’ 등의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장애인을 비하하는 단어다. 이런 올바르지 않은 태도 때문에, 병신이라는 단어는 쓰지 않는 게 맞다. 하지만 이 단어가 선택돼 ‘병신체’라는 말이 만들어진 것은, 그만큼 그 문체가 ‘불구, 무능, 부족, 불편, 편향’과 상대 비하의 특질을 갖고 있어서가 아닐까.

그간 썼던 기사들을 다시 열어보며 곳곳에서 나의 병신체와 마주치고 있다. 얼굴이 화끈거린다.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3142127325

?

  1. 영혼의 존재를 밝히려는 실험#2

    뇌사에서 깨어난 사람의 유체이탈 경험담을 토대로 실험을 함. 환자가 알 수 없는 높은 곳에 특정 사진을 비치 뇌사 후 깨어난 환자에게 물어봄.. [참고] 이전 스크랩한 글. 영혼의 존재를 밝히려는 실험#1 내용(HTML 복사) https://hooni.net/xe/60757 질량 ...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426
    Read More
  2. 일본 디즈니랜드 동반자살하는 가족들의 공통점

    어떤 한국사람이 일본 여행을 다녀왔는데 가이드랑 한 방을 쓰게 됐답니다. 가이드랑 친해져서 이런저런 얘기 하다가 가이드가 하는 말이.. 자기가 이 일을 오래 해보니까 느낀 게 사람들이 자살을 너무 많이 한다. 특히 가족 동반 자살이 많은데 일본에 디즈...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00
    Read More
  3. 주어진 삶에 대처하는 자세

    한 가정에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 형제의 아버지는 심각한 알코올 중독자였다. 형제의 집에는 술 취한 아버지를 향한 어머니의 고함, 그런 어머니를 향해 퍼붓는 아버지의 주사. 그리고 웃음기 없는 얼굴로 하루를 버텨가는 형제의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그...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78
    Read More
  4. 누나와 앵무새

    어머니께서 지병으로 누워 계신지 몇 해가 지날 무렵이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어느 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혔습니다. 마치 돌아오지 못할 여행이라도 떠나는 사람처럼 얼굴에 슬픔이 가득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께...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4
    Read More
  5.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지 손가락 끝은 왜 보고 있나

    불가에 견월망지(見月亡指)라는 표현이 있다. 원문을 풀이하면 달을 봤으면 달을 가리키는 손을 잊으라는 뜻이다. 본질을 깨우쳤으면 수단들은 버려야 한다는 의미다. '능엄경'은 견월망지의 핵심을 찌르고 있다. "누군가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켜 보인다면 우...
    Date2015.07.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790
    Read More
  6. No Image

    내가 살아보니까 - 장영희

    내가 살아보니까 - 장영희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는다.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
    Date2015.07.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4
    Read More
  7. 당신은 오늘 몇번째 계단까지 올라가셨나요 ?

    질문: 오늘 몇번째 계단까지 올라가셨나요 계단: 밑에서부터 안 할래>못 해>하고 싶다>어떻게 하지?>해봐야겠다>할 수 있어>할거야> 해냈어
    Date2015.07.0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7
    Read More
  8. No Image

    보그 병신체

    요즘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문체들이 있다. ‘보그 병신체’와 ‘인문 병신체’다. 보그(Vogue)는 유명한 패션 잡지다. 그 한국어판에 나오는 기사 문체가 ‘병신’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 바로 보그 병신체다. 영어나 불어 단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고 토씨만 한글...
    Date2015.07.0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20
    Read More
  9. No Image

    문제는 알고리즘이다

    수만 명의 회원이 가입한 생활코딩이라는 페이스북 그룹이 있다. 나도 최근에 회원으로 가입했는데, 여러 가지 포스팅 중에서 간혹 알고리즘에 대한 질문이 올라오는 것을 보게 된다.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알고리즘을 꼭 알아야 하나요?” “개발자에게 알고리...
    Date2015.06.2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68
    Read More
  10. 스타벅스 된장남 멤버십 ㅋㅋ

    된장남 멤버십 카드 ㅋㅋ
    Date2015.06.0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7
    Read More
  11. ‘언젠가’라는 병

    완성된 후 뭔가 할려고 하면 이미 시간이 지나버린.. 스타크래프트 할 때 생각나네~ 만렙 채우고 쳐들어 갈려면 이미 늦음 ㅋㅋ 삶의 신호등들은 동시에 초록색으로 바뀌지 않는다. '언젠가'라는 말은 당신의 꿈을 무덤까지 데려가는 병인 것이다. [출처] http...
    Date2015.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29
    Read More
  12. No Image

    멘탈이 강한 사람들의 13가지 특징

    멘탈이 강한 사람들의 13가지 특징 1. 그들은 자신의 환경이나 주변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정신적으로 강한 사람들은 그들이 처한 환경에 대해 한탄하거나 남들이 그들을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해 서운해 하느라 허송 세월을 보내지 않는다. 대신 그들은 삶이 ...
    Date2015.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