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667 댓글 0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관포지교(管鮑之交)에 대한 내용 정리

 

가. 출전

史記(사기) 管晏列傳(관안열전)

 

나. 관포지교의 뜻

제(齊)나라 재상이었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 ; 포숙아라고도 함)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서로 이해하고 믿고 정답게 지내는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고사성어.

 

다. 사기(史記)에 나오는 스토리 정리

 

(1) 어린 시절

 

포숙의 집안은 명문가였으나 관중은 홀어머니 밑에서 가난하게 자랐다.

어려서부터 포숙은 관중의 범상치 않은 재능을 간파하고 있었으며, 관중은 포숙을 이해하고 불평 한마디 없이 사이좋게 지내고 있었다. 

젊었을 때 관중은 건달로 지내며 자주 포숙을 속였다.

포숙은 자본을 대고 관중은 경영을 담당하여 동업하였으나, 관중이 이익금을 혼자 독차지하였다.

그런데도, 포숙은 관중의 집안이 가난한 탓이라고 너그럽게 이해했다.

함께 전쟁에 나아가서는 관중이 3번이나 도망을 하였는데도, 포숙은 그를 비겁자라 생각하지 않고 그에게는 늙으신 어머님이 계시기 때문이라고 그를 변명하였다.

 

(2) 경쟁(관중은 제나라의 첫 번째 왕자 ‘규’, 포숙은 두 번째 왕자 ‘소백’을 지지하게 됨)

 

두 사람은 벼슬길에 올라 관중은 공자(公子) 규(糾)를 섬기게 되고 포숙아는 규의 아우 소백(小白)을 섬기게 되었다.

그런데 얼마 안가서 두 공자는 왕위를 둘러싸고 격렬히 대립하게 되어 관중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적이 되었다

 

(3) 정치적 결과 (포숙의 승리, 하지만 재상은 관중이)

 

이 싸움에서 소백이 승리했다.

그는 제나라의 새 군주가 되어 환공(桓公)이라 일컫고, 형 규를 죽이고 그 측근이었던 관중도 죽이려 했다.

그때 포숙아가 환공에게 진언했다.

“관중의 재능은 신보다 몇 갑절 낫습니다.

제나라만 다스리는 것으로 만족하신다면 신(臣)으로도 충분합니다만

천하를 다스리고자 하신다면 관중을 기용하셔야 하옵니다.”

환공은 포숙아의 진언을 받아들여 관중을 대부(大夫)로 중용하고 정사(政事)를 맡겼다.

 

(4) 관중의 선정(善政)

 

재상(宰相)이 된 관중은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마음껏 수완을 발휘해 환공으로 하여금 춘추(春秋)의 패자(覇者)로 군림하게 했다

 

(5) 관중의 의외의 처신

 

제 환공은 관중에게, 관중 다음 재상감으로 누가 좋은지를 물어 보았다.

당연히 관중 자신을 밀어 준 포숙을 추천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관중의 답은 의외였다.

“포숙은 정직하고 청렴결백하여 나라를 잘 다스릴 것입니다.

하지만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그 청렴결백과 정직이 때로는 장애가 되기도 합니다.

포숙은 너무 곧아서 모든 간신의 무리를 내치고 말 것입니다.

너무 깨끗한 물에는 고기가 살지 않는 법입니다.“

즉 사람들의 예측과 달리 관중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친구 포숙아를 재상으로 천거하지 않았다.

포숙아의 潔癖性(결벽성)과 原則主義(원칙주의)를 걱정했던 것이다.

 

kpjk.jpg

 

 

(6) 관중의 회고

 

“내가 젊고 가난했을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면서 언제나 그보다 더 많은 이득을 취했다. 그러나 포숙은 나에게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그는 내가 가난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는 또 몇 번씩 벼슬에 나갔으나 그때마다 쫓겨났다. 그래도 그는 나를 무능하다고 흉보지 않았다.

내게 아직 운(時運)이 안 왔다고 생각한 것이다.

 

또한 세번 전쟁에 나갔다가 세번 다 달아났지만, 나를 비겁하다고 하지 않았다.

내게 늙으신 어머니가 있음을 알기 때문이었다.

 

공자 규가 후계자 싸움에서 패하여 동료 소홀(召忽)은 싸움에서 죽고 나는 묶이는 치욕을 당했지만 그는 나를 염치없다고 비웃지 않았다.

내가 작은 일에 부끄러워하기보다 공명을 천하에 알리지 못함을 부끄러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나를 낳아준 이는 부모이지만 나를 진정으로 알아준 사람을 포숙아다(生我者父母 知我者鮑子也)”

 

2. 생각

 

 ‘사기’에서 드러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우정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는 ‘관포지교’는 포숙의 관중에 대한 ‘일방적인 믿음과 사랑’에 다름 아니다.

포숙의 입장에서는 속이 상할만도 한데 끝까지 관중의 입장을 지지하고 이해했다.

 

사마천은 관중의 입을 통해 우정의 진정한 의미를 일깨우려 한 것 같다.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알아준다는 것.

설령 내 처신이 부적절해 보여도 그런 내 처신의 근저(根底)에는 어떤 마음이 있는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알아주는 것. 그것이 친구라고 본 것이다.

 

너무도 흔하게 부르는 ‘친구’라는 말 속에는 그 사람에 대한 ‘이해’와 ‘알아챔’이 필요하다는 점을 준엄하게 지적하고 있다.

포숙아도 관중을 알아주었지만, 관중도 포숙아를 알아 준 것이다.  

 

과연 나에게 ‘포숙아’ 같은 친구가 있는가?

내도 ‘관중’처럼 행동하는 친구를 이해할 수 있을까?

 

friend.gif

 

[출처] https://brunch.co.kr/@brunchflgu/565


?

  1. 전설이된 컴돌이

    고등학교 내내 컴퓨터만 좋아하고 학교 성적은 전교 최 하위권. 하지만 프로그래밍 하나만으로 광운대 진학 후 자신이 그토록 좋아하던 컴퓨터 전공 관련 과목 올 A+ 이후 카이스트 석사도 국비 장학생으로 진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와 연관된 수십 편의...
    Date2016.05.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15
    Read More
  2. 전 연방의원의 "한국민주주의 후퇴 우려" 공개 편지

    데니스 쿠치니크(Dennis John Kucinich)는 1997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 민주당 오하이오주 하원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지난 2004년과 2008년에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바 있다. 그가 지난 7월 27일, 허핑턴포스트US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을 향한 ...
    Date2014.07.3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091
    Read More
  3.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폰트 BEST5

    우리가게를 운영하다 보면 메뉴판부터 카운터, 화장실의 안내 멘트 등 의외로 다양한 인쇄물을 제작할 일이 생깁니다. 간단한 내용들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실 텐데요. 이때 많은 사장님들께서는 인쇄물의 폰트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으실 거예요. 하지만 ...
    Date2018.08.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114
    Read More
  4.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세계의 언어학자들은 우리말과 우리글을 세계 최고라 칭찬하는데, 우리말 한글은 1997년 10월에 세계의 숱한 문자 가운데 유일하게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우리 말글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부족한 편인데...
    Date2014.02.1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649
    Read More
  5. 장점이 단점이 되고, 단점이 장점이 될 수 있다.

    꽃사슴이 물을 마시다가 물속에 비친 자신의 뿔을 봤습니다. 아름다운 자신의 뿔에 꽃사슴은 스스로 감탄하하면서 자랑스러워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갸냘픈 다리에 눈길이 머물자 너무 연약해보여 한숨을 쉽니다. 그때 사자가 나타났습니다. 깜짝 놀란 사슴...
    Date2017.10.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053
    Read More
  6. 장강명 <표백> 일부 발췌

    "저는요, 젊은이더러 도전하라는 말이 젊은 세대를 착취하려고 하는 말이라고 생각해요." H그룹 인사부 선배는 요즘 대학생들에게는 도전정신이 없다는 이야기를 한참 늘어놓았다. "요즘 학생들 보면 이렇게들 패기가 없어서야 참 걱정이다 싶을 때가 있어. ...
    Date2016.05.1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94
    Read More
  7. 잠이 많은 아기 다람쥐

    BBC 야생다큐팀 소속의 어떤 스텝이 길에 쓰러진 아기 다람쥐를 구했는데, 다른 다람쥐들 보다 잠이 훨씬 많아서 늘~ 잠에 취해 있다 함 ㅋㅋ
    Date2015.11.2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84
    Read More
  8. 잘못 사용하고 있는 외국 속담, 표현

    원래 의미와 다르게 해석되고 사용되는 외국 속담들. 속담이나 각 나라에서 유행하는 표현들은 당시 유행과 문화가 반영되어 다르게 해석되거나 오역된 내용이 활용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나라마다 다르게 활용되는 표현에 대해서는 실제 의미를 알고 서로...
    Date2018.08.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183
    Read More
  9. 잘려고 하면 꼭 이런다 ㅋㅋ

    잘려고 누우면 갑자기 뭔가 생각이 떠오름 ㅋㅋ - 뇌 : 잘거야? - 나 : ㅇㅇ 이제 닥쳐. - 뇌 : 프로그램 디버깅 할 방법을 찾은거 같은데.. - 나 : ⊙⊙ <!-- Are you going to sleep? Yes I am. Now shut up. I think I figured out how to debug your program.
    Date2018.03.2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14
    Read More
  10. 작은 로딩 이미지 (나중에 써먹을지도 모름 ㅎㅎ)

    그냥 수집용 ㅋㅋ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987
    Read More
  11. 자존심과 거만함에 대한 짤

    자존심과 거만함에 대한 짤 그 중 이 짤이 젤 웃김. 아직은 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ㅋㅋ 얼씨구, 지금 잘난 척 하는 거예요? 이렇게 연결해 놓으니 신동엽이 대답한거 같음 ㅋㅋ
    Date2021.07.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32
    Read More
  12. No Image

    자전거 타는 법 잃어버리기 (To forget how to ride a bicycle)

    # To forget how to ride a bicycle 제목보다 훨씬 더 심오한 무엇인가가 담겨 있습니다. 지식과 이해, 편견과 고정관념 등에 대한 고찰이 대단하네요 video 태그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 입니다. document.getElementById("video_id").play();
    Date2015.12.09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0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