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FreeTalk
2021.11.24 05:38

해적은 왜 애꾸눈이 많을까?

조회 수 658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cyclops01.jpg


해적들을 보면 안대를 찬 애꾸눈이 많다. 전투를 많이 해야 하니 칼 싸움을 하다가 다쳤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은데, 특히 화살을 맞아 그럴 것이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사실 해적들은 안대를 찬 경우가 많다. 그러면 왜 차고 있는 것일까? 칼 싸움에서 다친 상처 때문은 결코 아니다. 아마 당시 상황으로 볼 때 칼 싸움으로 다쳤다면 90% 이상이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했을 것이다.


해적들은 급박한 상황에 처하기 일쑤다. 적들과 자주 마주쳐야 한다. 그리고 전쟁을 벌여야 한다. 상대가 수탈 대상이 되는 상선이든, 아니면 서로 묻고 뜯어야 하는 같은 해적선이든 간에 말이다.


미국 오레곤의 퍼시픽 대학 시각기능연구소의 짐 시디(Jim Sheedy) 소장은 해적들이 애꾸가 많은 것은 과학적으로 볼 때 상당히 타당성이 있고 납득할 만한 내용이라고 지적한다. 시디 소장은 "해적들은 갑자기 전투가 벌어지면 어두운 갑판 밑과 밝은 갑판 위 사이를 왔다 갔다 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쪽 눈을 어둠에 적응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안대를 찼다"고 주장한다.

어둠 속에서 눈이 적응하는 데 25분 걸려..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안대를 차는 애꾸눈 해적들은 그렇지 않은 해적들보다 더 똑똑한 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빛이라는 주변 환경에 적응을 잘한 해적들이기 때문이다.

전투가 벌어져서 갑판 밑으로 내려가야 할 경우 안대를 찬 해적은 안대를 올리고 곧바로 어둠에 적응할 수 있다. 깜깜한 장소에 완전히 적응하는 데 걸리는 25분을 절약하고 곧장 전투에 뛰어들 수 있다는 말이다. 전투에서 25분은 아주 긴 시간이다.


따라서 해적들은 옛날부터 안대를 많이 찼다. 그러나 훗날 우리들은 동화나 그림, 그리고 소설과 영화 등을 보면서 해적들이 싸움을 하다가 다쳐 한쪽 눈을 잃은 것으로 생각했다. 물론 그 중 일부는 다친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빛과 눈이라는 명암에 빨리 적응하기 위해서였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보물섬'의 해적선 선장 잭은 상당히 지혜로운 선장이었다고 할 수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7 FreeTalk 아.. 그 때가 좋았는데.. file hooni 2016.09.14 691
586 FreeTalk 아.. 갖고 싶다.. file hooni 2014.10.07 435
585 FreeTalk 싱싱한 영어 ‘활어’회화: 술자리 편 hooni 2015.04.09 705
584 FreeTalk 심리학 용어 100가지 file hooni 2014.02.18 4157
583 Hogoo 실사 초안 secret hooni 2016.01.29 0
582 FreeTalk 신체 부위 별 국제 암시장 장기매매 가격.. file hooni 2014.02.05 4865
581 FreeTalk 신에 대한 진지한 고찰.. file hooni 2016.11.28 525
580 FreeTalk 신에 대한 길고 긴 고찰.. hooni 2013.05.28 7076
579 FreeTalk 신문선과 차범근 해설의 차이 hooni 2014.02.17 3253
578 FreeTalk 신나는 팝송 리스트.. hooni 2013.05.28 5860
577 FreeTalk 신기한 착시현상! ㅎㅎ file hooni 2013.08.16 7607
576 FreeTalk 시한부 아내에게 돌아온 남편 file hooni 2014.12.18 524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