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1995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교육적’이라는 단어가 가장 겁난다.
한국의 교육은 철저하게 ‘교육을 위한 교육’이다. 자식을 해병대 캠프에 보낼 때처럼 ‘교육적’이라는 말만 붙이면 정당화된다.

지난번 한 지방에 강연을 갔을 때다. 기차역으로 마중을 나온 학부모와 ‘체험 학습’과 관련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던 중 그 학부모가 한숨을 푹 내쉬며 제발 학교에서 아이가 뭘 좀 만들어오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아이가 뭘 만들어오는 것이 그렇게 기특하고 좋을 수 없었다고 한다. 잘 보이는 곳에 두고 자랑하기도 했다. 부모가 좋아하는 것을 보고 아이도 신이 나서 학교에서 뭔가를 계속 만들어왔다. 어느 정도까지는 진열장을 사야 하나, 아니면 사진으로 일일이 기록해서 추억으로 남겨줘야 하나 ‘행복한’ 고민을 했다.

그런데 이 ‘작품’이 점점 많아지면서 집안에 애물이 되었다. 아이는 부모가 좋아하니 계속 가지고 오는데 어디 둘 곳도 없고 골칫거리가 된 것이다. 그분은 심지어 아이가 학교에서 ‘쓰레기’만 만들어온다고 한숨을 푹 쉬었다. 그래서 어느 날은 아이에게 불쑥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너넨 공부는 안 하고 만들기만 하니?”

19823_38932_718.jpg
ⓒ그림 박해성

이 이야기는 한국에서 만들기 교육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만들기 교육의 가장 큰 목적은 ‘만드는 과정을 즐기도록’ 만드는 것이다. 리처드 세넷이 <장인>이라는 책에서 쓴 개념을 빌린다면, 만들기를 통해 ‘생각하는 손’을 키우는 것이 만들기 교육의 목적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만드는 과정에 집중하며 과정이 손에 익도록 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만들기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기 안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 교육에서 만들기는 ‘학교 교육이 머리만 쓰게 하고 손과 몸을 놀리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도입되었음에도 여전히 손과 발을 놀리는 것 자체도 ‘공부’, 즉 머리를 쓰게 하는 목적에 종속되어 있다. 

만들기를 통해 학생들이 사물이나 원리에 대한 ‘공부’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 만들기 자체가 교육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니 처음에는 만들기 자체가 재미있더라도, 점점 자기가 만드는 것이 공부를 위한 수단이며 자기가 만든 것은 ‘쓰레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만들기에 대한 흥미를 잃는다.

여기서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이 한국의 교육은 철저하게 ‘교육(공부)을 위한 교육’이라는 점이다. 한국은 ‘교육적’이라는 말만 붙으면 어떤 반교육적인 것도 정당화된다. 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교육용이라는 이름으로 호랑이를 좁은 우리에 가둬 공공장소에 전시하기도 했다. 호랑이가 겪을 고통과 그 고통을 당연시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떤 ‘반교육적’ 효과를 가져올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았다.

교육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수단으로 삼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공부를 하게 만들기 위해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만 신성시된다. 다른 모든 것은 공부를 위한 수단이나 도구에 불과하다. 교육적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면 폐기해도 무방한 것이 된다. 이런 ‘교육을 위한 교육’은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을 가리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배우고 당연시하게 된다는 점에서 대단히 반교육적이다.

6월 교육감·교육위원 선거의 투표 기준

이 때문에 나는 한국에서 가장 겁나는 말이 ‘교육적’이라는 말이다. 이 말을 붙여서 좋은 일이 생기는 걸 못 봤다. 자식을 해병대 캠프에 보내는 것도 ‘교육적’이라는 말만 붙으면 합리화된다. 그 과정이 얼마나 반교육적인가 하는 점은 중요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해병대 캠프에 다녀와서 자식이 부모의 고마움을 절실히 깨닫고 자신이 얼마나 행복한 상태이며 어리광쟁이였는지를 깨달으면 목적을 달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교육은 과정이며, 과정을 통해 배우는 습관을 들이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과정을 무시하고 수단시하고 그 과정에 있는 수많은 다른 사람과 존재들을 도구로 삼는 못된 습관만 들이게 한다.

이제 6월이면 광역단체마다 교육감과 교육위원을 뽑는 선거가 치러진다. 내가 학부모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것은 ‘교육적’이라는 이름으로 또 무엇인가 반교육적인 것을 학교 안으로 들여오려는 사람들만은 절대 뽑지 말자는 것이다. ‘교육적’이라는 말을 남발하는 사람만 안 뽑아도 그 첫걸음은 될 것이다. 

[출처]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23

?

  1. 위기상황에서의 리더의 중요성

    “처음부터 끝까지 다 잘못된듯한” 세월호의 참극을 보면서 나는 5년여전인 2009년 1월15일 뉴욕 허드슨강에 불시착한 US Airways 1549편을 떠올렸다. 라과디아공항에서 비행기가 이륙한뒤 새가 엔진에 충돌해 양쪽 엔진이 다 멈추고 설렌버거 기장이 허드슨강...
    Date2014.04.2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084
    Read More
  2. No Image

    앱 등록 준비물..

    비밀글입니다.
    Date2014.04.18 CategoryHogoo Byhooni Views0
    Read More
  3. 라인 레인저스(LINE Rangers)를 그만 두게 된 이유

    라인 레인저스(LINE Rangers) [기사]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03037509v 게임 스토리는 샐리가 외계인에게 납치되어 구해내는 것이다. 샐리를 구할 생각에 한참을 재밌게 하다가 어느 순간.. 과연.. 정말 샐리가 납치됐을까? ...
    Date2014.04.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388
    Read More
  4. 엔지니어(개발자)와 일하는 방법

    엔지니어(개발자)와 일하는 방법 by Julie Zhuo (페이스북 디자인 디렉터 / Product design director @ Facebook. ) 원문 url 링크 : https://medium.com/the-year-of-the-looking-glass/a3163ff1eced (앞 문장은 똑같아서 생략) 엔지니어(이하 개발자)는 팀의...
    Date2014.04.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235
    Read More
  5. 왜 프로그래머는 계속 공부하는데도 모자른걸까?

    프로그래머가 아무리 공부를 해도 쏟아지는 지식을 다 알순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배울지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학계보다는 업계가 분야를 주도하다보니, (학계는 좀 수비적이죠) 공격적인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그 아래에 개발자들은 넘쳐나는 정...
    Date2014.04.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020
    Read More
  6. 뇌운동.. 좌뇌? 우뇌? 어느쪽을 사용하십니까?

    여인이 어느 방향으로 돌고 있습니까 ? 위 애니메이션은 자신이 평소에 오른쪽 뇌를 주로 쓰는 사람인지, 아니면 왼쪽 뇌를 많이 쓰는 사람인지 판별해주는 기능을 한다. 여인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 사람은 평소에 왼쪽 뇌를 사용하는...
    Date2014.04.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644
    Read More
  7. ‘교육적’이라는 단어가 가장 겁난다.

    ‘교육적’이라는 단어가 가장 겁난다. 한국의 교육은 철저하게 ‘교육을 위한 교육’이다. 자식을 해병대 캠프에 보낼 때처럼 ‘교육적’이라는 말만 붙이면 정당화된다. 지난번 한 지방에 강연을 갔을 때다. 기차역으로 마중을 나온 학부모와 ‘체험 학습’과 관련된...
    Date2014.04.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995
    Read More
  8. 구글에 무릎 꿇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마지막 펀치는 ‘아라’가 될 것

    3D 프린팅으로 추진하고 있는 Google의 전략적 무기 'Project Ara' 심층 분석 I. 구글의 기본 전략 분석 II. 지난 4개월 동안에 일어난 일들 II-1. 프로젝트 아라가 주는 의미 분석 II-2. 프로젝트 아라에 3D 프린팅 가세의 의미 분석 II-3. 구글, 모토를 레노...
    Date2014.04.09 CategoryHogoo Byhooni Views3969
    Read More
  9. 파레토 법칙 (20:80)

    20:80 법칙을 발견해 낸 이탈리아의 파레토는 꽤 유명하다.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가 영국의 부와 소득의 유형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알게된 것으로 소수의 국민이 대부분의 소득을 ...
    Date2014.04.07 CategoryHogoo Byhooni Views3659
    Read More
  10. 아프리카 기니 사람들이 밤에 공항을 가는 이유

    아프리카 기니 사람들이 밤에 공항을 가는 이유..
    Date2014.04.0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014
    Read More
  11. 사기꾼 특징 (관상, 말투, 하는 말)

    1. 말이 많다. 경청을 하지 않고 자기 말만 계속해서 세뇌가 되게 만든다. 2. 처음에는 자기 사비를 털어 밥도 사주고 이것저것 인간적으로 잘해준다. 3. 뭐든지 다 잘아는 척, 인맥이 넓은 척, 말만 들어보면 모르는 것이 없고 모르는 사람이 없다. 4. 옷을 ...
    Date2014.03.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477
    Read More
  12. 자신의 일을 중국 개발자에게 아웃소싱한 개발자(미국)

    자신의 일을 중국 개발자에게 아웃소싱한 미국의 개발자 요약된 기사는 여기[링크]서 볼 수 있고 원 기사는 여기[링크] 1월 14일에 나온 내용이다. 이 사건은 이러하다. 미국에 있는 한 회사의 IT 관리자가 VPN 접속 로그를 살펴보고 있는데, 이상하게 중국 선...
    Date2014.03.2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73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