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1994 댓글 0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직장에서 해선 안되는 ‘금지어’ 10가지

i1.jpg
ⓒshutterstock

회사라는 공간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이 모여서 공통의 목표를 위해 일하는 장소다. 그런 이유로 서로 상호간에 지켜야할 예의가 있고 그런 매너를 지키지 않으면 이른바 '왕따'를 당할 수 있다.

기피대상 1위에 오르면 자신도 모르게 회사 내에서 입지가 줄어들고 결국 승진은 고사하고 자리를 지키기도 어렵게 된다. 

입사 초기부터 자신이 하는 말을 돌아보고 해서는 안되는 말을 기억해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또한 직원들 사이에 오가는 말은 그 회사의 문화를 만들고 조직의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에 회사의 리더라면 아래와 같은 말들을 하는 직원을 눈여겨보고 있다가 엄중 경고하는 게 좋다.

해서는 안되는 말이 많아질수록 회사의 사기와 전문성은 낮아진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1. "그만 놀고 일 좀 해라"

특별히 노는 것도 아닌데 잠시 동료들과 차 한잔 마시고 있을 때면 어김 없이 나타나서 "그만 놀고 일 좀 해라" 하고 핀잔을 하는 상사가 있다. 

장난 같이 들릴지 몰라도 계속 듣다보면 '정말 내가 일을 안하나?' 하고 생각된다. 또한 '그러는 너는 얼마나 일을 많이 하는데?'하는 반격을 당할 수도 있다.

2. "또 사고쳤냐?"

일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실수는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사사건건 트집을 잡아서 사람을 깎아내리는 상가나 동료가 있다. 

이런 말은 듣는 사람의 기를 죽일 뿐 아니라 불필요하게 사내에서 적을 만드는 지름길이다. '니가 다음에 사고치면 어디 두고보자'하는 원수를 만들어서 나중에 화를 자초할 필요는 없다.

3.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남을 비난하는 것을 즐기는 악취미를 갖고 있는 사람은 어디에나 있다. 자신의 분야가 아닌 업무에 대한 의견을 물어놓고는 대답을 제대로 듣지도 않고 면박을 주는 사람이 잘 하는 말이다. 

잘 알지도 못하지만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어야 조직이 건강해진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조직에서 정리해야 할 대상 1호로 꼽힌다.

4. "제 말이 이해가 됩니까?"

회의 시간 중에 자신이 열심히 무엇인가를 설명한 뒤에 습관적으로 이렇게 말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 

우선 자신감이 없어 보인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설령 자신도 확신이 안되는 이야기라고 해도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일관하는 게 중요하다. 다 이야기 한 뒤에 이해가 되냐고 반문하면 듣는 이들은 신뢰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대신 "제 이야기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라고 말하면 좋다. 자신감 넘치는 태도는 회사에서의 입지를 높여줄 것이다.

5. "어려운 것 아니잖아, 금방 끝나지?"

아무리 상대가 일을 잘하는 경우라고 해도 이런 식의 말은 금물이다. 이런 말을 들은 뒤에 일을 일찍 끝내면 당연한 것이고, 혹시 늦어지면 무능한 직원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중요한 일을 담당하고 있는 직원에게는 이런 말을 삼가야 한다. 남들 눈치를 보느라 정작 중요한 부분을 대충 처리하고 겉으로만 일을 끝내면 나중에 회사에 큰 문제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i2.jpg
ⓒshutterstock

6. "그 일은 제 업무가 아니에요"

어쩌면 회사 생활하면서 가장 많이 들어본 말인지도 모른다. 많은 사람들은 자기 일이 아니라는 대답으로 당장의 불편함을 피하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 확인해 보면 결국 자신과 관련이 된 일들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나중에 곤란한 일을 겪을 수도 있고, 그것이 아니더라도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대신 "담당자를 정확히 확인해 봐야겠지만 제가 뭘 도울까요?"라고 말하면 상대방도 당신을 다시 평가할 것이다. 자신의 일이 아닐지 모르는데도 돕겠다고 말하는 사람에게 '일을 못한다'고 핀잔할 사람은 많지 않다.

덤으로 다른 사람을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를 얻게 돼 나중에 회사에서 평판이 몰라보게 좋아질 것이다.

7. "어떻게 이럴 수가 있죠?"

그렇다. 회사에서 불합리한 일을 당할 때도 있다. 하지만, 그 순간 화를 내면서 감정이 격앙된 상태로 "어떻게 회사가 내게 이럴 수 있죠?"라고 말하는 것은 회사 경력에서 자살행위와 같다.

곁에서 지켜보고 있는 상사나 보스라도 있다면 당신은 불평불만쟁이로 낙인찍힐 것이다. 정말로 불합리한 일을 당했더라도 그런 말을 하면 안된다. 

대신 조용히 사정을 설명하고 자신이 피해자라는 사실을 논리정연하게 설명한다면, 당신은 이성적이고 참을성이 많은 '리더'의 자질이 있는 인재라는 인상을 줄 것이다. 

8. "정말 짜증나"

당연하다. 회사 생활은 짜증나는 일의 연속인 것이다.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만두고 자기 사업을 차려야 한다. 

물론 자기 사업을 차리면 짜증은 10배 아니 100배가 늘어날지도 모른다. 어린아이 같은 응석을 회사에서 부린다면 당신은 '피곤하고 불만이 많은 사람'이라고 자인하는 셈이다. 절대로 직원들과 일할 때 짜증난다는 감정 표현은 해서는 안된다.

9. "정말 미안한데요..."

습관적으로 미안하다는 말을 입에 달고 있는 사람이 있다. 아마도 그 말을 듣는 사람은 속으로 "미안할 말이라면 하지 말지 그래"하고 생각할 것이다. 

미안하다는 말을 쉽게 하는 사람은 정말로 미안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사람들은 믿고 있다. 때문에 미안하다는 말 대신에 "이런 저런 문제가 생겼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하고 상대방의 의사를 물어보는 방식으로 자신의 실수나 잘못을 인정하는 게 좋다.

10. "어제 남친하고 싸웠나 봐요?"

사적인 질문은 회사에서 피해야 한다. 친한 사이라고 생각해서 상대방의 사생활을 거론하는 것은 상식 밖의 행동이다. 당연하다고 생각하겠지만, 한국과 같은 집단문화가 강한 곳에서는 이런 질문이 아무렇지 않게 오간다.

특히 남성들의 경우 여직원에게 민망한 질문이나, 너무 사적인 이야기는 묻지 않는 게 기본적인 매너다. 

[출처] http://www.insight.co.kr/news.php?Idx=3676&Code1=002

?

  1. 기억의 미스터리

    기억의 미스터리 뇌가 없어도 기억이 가능하다? 얼빠진 사람한테 ‘뇌는 장식이냐?’는 우스갯소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표현상의 미묘한 차이를 알 수 있는데, 정신이 또렷하지 못한 이유를 옛사람들은 심신을 다스리는 얼이 빠졌기 때문이라고 본 반면, 현대...
    Date2015.01.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605
    Read More
  2. 막 한글 배운 할머니들이 쓴 글 15선

    한글을 갓 배운 할머니들이 손수 글을 써내려갔다. 할머니들이 전한 글에는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먼저 떠나보낸 남편에 대한 사랑, 자식들을 생각하는 마음, 여자로서의 인생이 녹아있다. 그간 확산되며 네티즌들의 마음을 짠하게 만들었던 할머니들의 이야...
    Date2015.01.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03
    Read More
  3. [2015년 달라지는 것들] 부동산 중개료 낮추고, 子女장려금(18세 이하 1인당 年 최대 50만원) 신설… 證市 변동 폭 ±30%로

    [노동·교통·환경] 최저임금 시간당 5210원에서 5580원으로 입사지원서류 반환 의무화, 민자고속道 무료 긴급 견인 ▲최저임금 시간당 5580원=최저임금이 2014년 시간당 5210원에서 2015년 5580원으로 인상된다. ▲입사 지원 서류 의무 반환=근로자 300명 이상 ...
    Date2015.01.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7
    Read More
  4. 얼리어답터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가이드

    얼리어답터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비행기 1등석에서 마카다미아를 주문하기 보다는 어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지와 UI를 분석하느라 정신이 없는 사람들이다. 그런 우리들에게 배터리가 들어있지 않은 크리스마스 선물은 의미가 없다. 크리스마...
    Date2015.01.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95
    Read More
  5. 애플 매니아들을 위한 선물 (얼리어답터)

    사실 애플 매니아들은 좀 어려운 소비자다. 어지간한 디자인이나 기능으로는 절대 만족할 사람들이 아니며 작은 단차나 유격에도 민감하니까. 가끔은 디자인이나 기능이 별로라도 환호하는 경우를 보면 변덕 심한 스티브 잡스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Date2015.01.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69
    Read More
  6. No Image

    대학생을 위한 웹 개발 공부용 체크리스트

    제가 2012년부터 대학교 3학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들어보니 요즘 전산 관련학과 학생들은 1년 정도 휴학이 기본이라고 하더군요. 원래 개발을 잘하는 친구들이야 알아서 뭔가 하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학과에서 배우는 것만으로는 뭔가 부족하다...
    Date2014.12.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57
    Read More
  7. 시한부 아내에게 돌아온 남편

    왜 돌아왔을까.. 했더니..
    Date2014.12.1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21
    Read More
  8. 2014 한국과 외국 부자들의 차이

    Date2014.12.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50
    Read More
  9. 불편한 진실 -지금 대한민국은

    Date2014.1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75
    Read More
  10. 구글의 9가지 채용 기준 - 구글이 뽑는 사람과 뽑지 않는 사람

    구글은 여느 기업보다 직원을 까다롭게 뽑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구글은 어떤 기준으로 직원을 뽑을까? 어떤 사람을 뽑으며 어떤 사람을 뽑지 않을까? 구글의 CEO 에릭 슈미트(Eric Schmidt)가 쓴 《How Google Works(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에 ...
    Date2014.1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24
    Read More
  11. No Image

    외국여인들이 본 한국여성

    독일 여자가 비난한 한국 여자 독일 여자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분야에 골고루 관심을 넓혀 가는데 한국 여자들은 오로지 결혼, 명품, 성형, 연예인, 사생활, 화장 등 경제발전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것에만 관심을 두고 산다. 개인주의, 자기 이익만 추...
    Date2014.1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57
    Read More
  12. 자동차 접촉사고시 대응방법 (마디모)

    옷깃만 스쳤는데 전치 4주? 경미한 부상이 의심됨에도 피해자가 꾀병을 부리면서 무작정 병원에 입원하거나 무리한 합의금을 요구하는 등의 사례가 흔하다. "나이롱 환자" 골라내는 방법, 마디모 프로그램이 있다. 특히 택시 등의 영업용 차량과 경미한 접촉...
    Date2014.1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7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