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1224 댓글 0
Atachment
첨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사적인 일에서든 업무에서든 누구나 가끔 스스로에게 거짓말을 한다("이렇게 무거울 리가 없어. 저울이 고장 난 것이 분명해"). 직업에 따라서는 다른 직업에 비해 이런 거짓말이 더 흔한 경우가 있다. 오랜 시간 동안 혼자서, 촉박한 일정에 맞춰 일할 때가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특히나 이와 같은 자기 기만에 쉽게 빠지곤 한다. 소셜 미디어에서 만난 개발자들의 의견, 그리고 토론 포럼과 기타 온라인에서 개발자들이 남긴 글을 바탕으로 프로그래머들이 스스로에게 가장 자주 하는 악의 없는 거짓말 9가지를 선정했다. editor@itworld.co.kr


s01.jpg


“이 코드에는 주석이 필요 없다”

솔직히 코드에 주석을 다는 일은 지겹다. 그래서 개발자들은 적당한 이유를 들어 주석을 달지 않거나 최대한 뒤로 미루곤 한다. 그 이유가 합당할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Credit: flickr/Sabine


"여기엔 주석을 달 필요가 없어. 내가 썼으니 뭐가 뭔지 내가 잘 알아." Alek

"내가 만든 이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해하지 못할 사람은 없을 거야." John Morrow

"주석으로 설명을 달지 않아도 다 기억할 수 있어." Avenger

"코드 그 자체로 문서화된다." Toby Thain



s02.jpg


“오래 걸리지 않을 거야”

과신, 자기기만, 퇴근하고자 하는 절박함. 이유가 무엇이든 개발자들은 어떤 일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얼핏 보기에는 전혀 복잡하지 않은 코드에 대한 아주 작은 변경 또는 수정 작업도 막상 해보면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큰 일이 되곤 한다. Credit: flickr/Adam Rifkin


"이거 아주 쉬워. 오래 걸려봤자 2시간이면 충분할걸?" Mita

"이건 너무 쉬워서 금방 알아낼 거야." notgeorgelucas

"버그 하나만 더 잡으면 다 해결된다." Joe Atiyah

"5분 후면 집에 갈 수 있다." Evan Wilde



s03.jpg


“나는 이것보다 더 잘 할 수 있다”

오픈소스가 성장하면서 개발자들은 온갖 종류의 코드와 도구,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됐지만, 그렇다고 "그들 스스로의 역할"에 대한 자부심이 줄어든 것은 아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게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 빼면 남는 것이 없다. Credit: flickr/Yahoo


"나는 X의 인터페이스 표준을 따를 필요가 없다. 내 방식이 더 나으니까..." Mark Harrison

"나는 gcc-03의 성능을 능가하는 어셈블리를 쓸 수 있다." Alex Feinberg

"내가 직접 만든 파서로 충분하다." Toby Thain

"내 코드가 네 코드보다 낫다." William Emmanuel Yu



s04.jpg


“나중에 고칠 거야”

프로그래머는 중요한 버그를 잡아야 할 때나 기한을 맞춰야 할 때를 포함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빠르게 하기와 "제대로" 하기 사이에서 타협해야 한다. 타협의 명분은 시간 절약이다. 완벽하지 않은 코드를 나중에 수정하거나 정리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그 '나중'은 결코 오지 않는다는 것을 스스로도 잘 안다. Credit: flickr/Nessima El Qorchi


"이 코드가 지저분한 것은 나도 알아. 나중에 다시 쓸 거야." GerardYin

"이 부분은 나중 릴리스에서 고칠 거야." notgeorgelucas

"나중에 이 부분으로 돌아와서 주석을 달 거야." schrodingerspanda

"지금은 이 버그를 무시해도 돼." makemehumanagain



s05.jpg


“사소한 변경일 뿐이야”

버그를 수정하든 기능을 추가하든 코드를 변경할 때는 아주 작은 것이라 해도 예상치 못한 종속성으로 인해 생각보다 일이 커지는 수가 많다. 그런데 코더는 이런 경우를 아무리 많이 겪어도 여전히 '사소한 코드 변경'이란 거의 없다는 사실을 망각하는 듯하다. Credit: flickr/Eric Golub


"아주 간단하고 사소한 변경이다." Hummigbird1

"1줄일 뿐이고 아무것도 망가지지 않을 거야." bleepster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은 필요 없다. 잘못될 가능성은 없다!" Ahmet Alp Balkan

"이 사소하고 별 것도 아닌 코드 변경이 단위 테스트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다." Hummigbird1



s06.jpg


“버그가 아니야”

간혹 개발자들은 코드가 잘못되거나 버그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든다. 직접 썼고 직접 테스트했으며(아마도), 자신이 보기엔 아무 문제도 없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뭔가를 잘못하고 있거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을 뿐이다, 개발자들은 그렇게 생각하곤 한다. Credit: flickr/Simon Davison


"내 컴퓨터에서는 잘 된다." Madsdad

"버그가 아니라 기능이다!" Ron007

"컴파일된다면 제대로 된 것이다!" Philip Guo

"테스트를 통과했다면 제대로 된 것이다." Michal Pise



s07.jpg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잘 안다”

프로그래머들은 스스로에 대해 과신하는 탓에 자신이 하는 일을 정확히 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을 그렇지 않은 때가 종종 있다. 과신하는 프로그래머는 지름길을 택하거나 무턱대고 논쟁하거나 전반적으로 경솔해질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Credit: flickr/Denise Krebs


"나는 디자인과 아키텍처를 건너뛰고 바로 코딩을 시작할 수 있다." Toby Thain

"나는 그 레거시 코드를 완전히 이해하고 있어!" Hummigbird1

"버전 제어는 필요 없다." Toby Thain

"내가 뭘 하는지는 내가 안다." Kyle



s08.jpg


“이 테스트는 생략해도 안전하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있어 필요한 단계지만 별 재미가 없는 일이 될 수도 있다. 주석을 쓰는 일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머들은 테스트를 하지 않기 위한 구실을 찾거나 적절한 코딩 절차를 밟지 않는 경우가 있다. Credit: flickr/Paul Downey


"테스트는 대부분 중복되는 작업이다. 지금 이 입력으로 작동되니까 입증된 것이다." Ahmet Alp Balkan

"단위 테스트를 한다면 타입 검사는 필요 없다." Toby Thain

"한 줄짜리 간단한 변경이다. 테스트할 필요가 없다." Sami Kukkonen



s09.jpg

“<가장 즐겨 사용하는 언어>을(를) 사용하고 있으니까 아무 문제 없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마다 잘 알고 신뢰하고 의존하는, 선호하는 언어가 있다. 그러나 선호하는 언어에 대한 사랑과 충성은 종종 그 언어의 결함과 단점, 또는 한계에 대해 스스로에게 정직하지 못한 자세를 갖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Credit: flickr/Kushal Das


"C로 작성한 코드라면 빠르다." Toby Thain

"파이썬으로 작성한 코드는 확장이 쉽다." Alec Heller

"자바는 모든 곳에서 실행된다." Ahmet Alp Balkan



[출처] http://www.itworld.co.kr/slideshow/86536


?

  1. 맛집 블로그의 실체..

    맛집 뿐만 아니라 다른 류의 블로그들도 마찬가지일 듯..
    Date2014.02.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03
    Read More
  2. 한국이 버린 선수들..

    진짜 정신 차려야 함 ㅡㅡ;;
    Date2014.0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665
    Read More
  3. 기발한 아이디어 상품

    디자인도 예쁘고 아이디어도 굿..
    Date2014.02.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816
    Read More
  4. 러시아가 안현수선수에게 이렇게 해줌..

    잘 갔네.. 잘 갔어!!
    Date2014.02.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399
    Read More
  5. KBS1 역사저널 "그날" 봐야지~ ㅎㅎ

    [펌] 조선의 국모, 민비 척족의 부패상 - 편집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는 제목. -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모두 소개됐지만, 특정 부분만 딱 잘라서 편집 - 이 원문을 만든이가 아마도 교학사 교과서 쪽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Date2014.02.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158
    Read More
  6. 오오옷.. 왜 이 사진이 자꾸 노출되나 했더니.. ㅋㅋ

    최근 리퍼러 분석기를 달고 트래픽이 어디서 유입되는지 보고 있다. 심심할 때 이거 쳐다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이래저래 데이터를 살펴보다가 구글 검색으로부터 아래 URL 호출이 많음을 확인하고, 이유를 찾다가 직접 검색을 해봤더니.. 후덜덜.. [링크] ...
    Date2014.02.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403
    Read More
  7. MIT 교수가 말하는 올바른 공부 습관 10가지

    조지 스웨인은 35년간 자신의 모교 MIT와 하버드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가르쳐 온 선생이었다. 열다섯 살에 MIT에 입학할 정도로 공부에 천재적 소질을 보였던 그는 이들 명문대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한 가지 사실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는다. 그가 발견한 사실...
    Date2014.02.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555
    Read More
  8. 우리를 빡치게 하는 틀린 맞춤법 Top 10

    틀린 맞춤법이 범람하는 SNS에서 오늘도 고통받는 페이스북의 맞춤법요정입니다. 가끔 '맛춤법 따위가 뭐가 중요하냐? 뜻만 통하면 돼지' 라고 하는 자유로운 분들도 계시지만 기본적인 맞춤법을 틀리면.. 1. '돼'와 '되' '돼'는 '되어'의 준말이므로 '되어'로...
    Date2014.02.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258
    Read More
  9.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중..

    공감 되는 부분 캡쳐^^ㅋ 져본 적이 없는 녀석은.. 정말 남의 마음을 모르는군..
    Date2014.02.1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06
    Read More
  10. 이번엔 선릉당구장인가..

    이전 글에서 처럼.. [이전 글] https://www.hooni.net/xe/28553 리퍼러 분석기를 달고 트래픽이 어디서 유입되는지 보고 있는데.. 구글 검색으로부터 또 아래 URL 호출이 많음을 확인하고, 직접 검색을 해봤더니.. 이번 키워드는 선릉당구장.. [링크] https://...
    Date2014.02.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197
    Read More
  11.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 출연

    내가 출연한게 아니고.. 군대 후임이 자신이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 출연한 적이 있다며.. 촬영스텝의 지인이라며, 엑스트라로 잠깐 여기저기 출연 했었다고.. 전역 후 말죽거리 잔혹사를 보는 중 발견함^^ 진짜.. 현근이 출연함.. 크크크.. 저거 봐라.. 저...
    Date2014.02.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77
    Read More
  12. No Image

    신문선과 차범근 해설의 차이

    예전 홈페이지 컨텐츠를 정리하면서 퍼오는 중에.. 수년 전 축구 중계를 보면서 공감했던 부분.. 개인적으로, 난 말만 많은 사람 싫다.. 신문선 본인은 정작 선수 시절에 별 볼일 없었으면서.. 현역들한테 지적질이나 하고.. 말로는 누가 뭔들 못할까? 게다가,...
    Date2014.02.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2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