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1244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운로드:        ftp://ftp.isc.org/isc/bind/src 
  프로그램:        bind-8.2-src.tar.gz, bind-8.2-doc.tar.gz


가. 사전 작업

1. 설치되어 있는지 알아내기
   $ rpm -qa|grep bind
     bind-8.2-6
     bind-utils-8.2-6 

2. 구버전 삭제하기
   $ rpm -e caching-nameserver-?.?-?
   $ rpm -e bind-4.?.?-?
   $ rpm -e bind-utils-4.?.?-?

3. 새버전 설치하기
   $ rpm -ivh bind-8.1.2-5.i386.rpm
   $ rpm -ivh bind-utils-8.1.2-5.i386.rpm
   $ rpm -ivh caching-nameserver-5.2-1.noarch.rpm

4. 소스로부터 설치
   $ cd /usr/local
   $ tar -zxvfp bind-8.2-doc.tar.gz
   $ tar -zxvfp bind-8.2-src.tar.gz
   $ cd ./bind-8.2-src
   $ make clean
   $ make depend
   $ make all
   $ make install

  
나. 환경 설정

    DNS를 설정하기위한 파일들
      1. /etc/resolv.conf
      2. /etc/named.conf
      3. /var/named/도메인.zone
      4. /var/named/도메인.rev
      5. /etc/hosts
      6. /etc/host.conf
      7. /etc/named.boot
      ※6과7번파일을 vi에디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야만 합니다.
      /var/nemed 밑에 named.local, named.ca 파일은 그냥 사용
  

1. /etc/resolv.conf                         # DNS 서버의 IP 주소를 리눅스에 알려주는 역할

   search top.co.kr                         # 검색 도메인, 호스트 이름을 뺀 도메인
   nameserver 127.0.0.1                # 자신이 DNS 서버가 될 경우
   nameserver 192.168.1.156                 # 자신이 가지고 있는 IP주소 


2. /etc/named.conf                        # DNS의 BIND가 동작할 때 필요한 설정파일. 핵심적 역할
                                           # ; 행구분, { } 설정영역, // 주석, . 루트
options {                                // BIND와 관련된 것
        directory "/var/named";                // 기준 디렉토리
};
zone "." {                                // 캐쉬 파일. 수정할 것 없음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0.0.127.in-addr.arpa" {                // localhost를 위한 Primary 도메인 설정
        type master;                        // 수정할 것 없음
        file "named.local";
};

// BIND가 관리할 도메인을 명시한다 
// zone "관리할 도메인 이름" {
//        type {hint|master|slave};
//        file "존 파일의 이름";
//        master { [마스터서버의 IP주소 ]; }
// };

zone "top.co.kr" {                        // 자신이사용할 도메인
        type master;                        // master 자신이 수정하고 관리할 때, slave 다른 네임서버에서 관리
        file "top.zone";
};
zone "1.168.192.in-addr.arpa" {                // IP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역변환
        type master;
        file "top.rev";
};


3. /var/named/도메인.zone                # /etc/named.conf 에서 만든 zone 파일을  /var/named/ 밑에 만든다

@         IN         SOA         ns.top.co.kr.         root.top.co.kr. (
                2000050501; Serial                         # 편집한 날짜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
        IN         NS         ns.top.co.kr.                        # 필수, NS는 Name Server을 의미, 끝에 . 주의
        IN         A          192.168.1.156                        # 필수, A는 Name Server의 IP 주소
        IN      HINFO   i586 LINUX                          # HINFO는 해당 주소에 대한 정보
        IN         MX         10         top.co.kr.                # MX는 Mail서버를 의미
;
localhost IN         A          127.0.0.1                        # 필수, 호스트들의 정의
ns        IN         A         192.168.1.156 
www        IN         A          192.168.1.156
mail        IN         A          192.168.1.156
ftp        IN         A          192.168.1.156
w3        IN         CNAME        www                                # 호스트에 대한 별명

4. /var/named/도메인.rev                # IP 주소로부터 도메인 찾게 하기

@         IN         SOA         ns.top.co.kr.         root.top.co.kr. (
                2000050501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
        IN          NS         ns.top.co.kr.
1         IN         PTR         www.top.co.kr. 
2         IN         PTR         mail.top.co.kr. 
3         IN         PTR         ftp.top.co.kr. 
4         IN         PTR         w3.top.co.kr. 

5. hosts내용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이건 도메인에대한 설명)
   192.168.1.156   top.co.kr       top


다. DNS의 시작

    $ cd /etc/rc.d/init.d 
    $ ./named restart

    부팅시 기동
    $ vi /etc/rc.d/init.d/rc.init

      if [ -f /usr/sbin/named ]
            then
                echo -n "start named"
                /usr/sbin/named
      fi


라. 테스팅

$ nslookup

Default Server:  localhost
Address:  127.0.0.1

> ns.top.co.kr                        # 입력
Server:  localhost
Address:  127.0.0.1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ns.top.co.kr
Address:  192.168.1.156                # 정상

> www.top.co.kr                        # 입력
Server:  localhost
Address:  127.0.0.1

Non-authoritative answer:
Name:    www.top.co.kr
Address:  192.168.1.156           # 정상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7 Develop [ios] 동영상 플레이어 샘플 (for Remote Url) file hooni 2017.02.07 1648
596 Develop [ios] 디렉토리 하하하.. hooni 2013.04.23 32633
595 Develop [ios] 로컬에 있는 html 실행하기 hooni 2015.02.10 1035
594 Develop [ios] 로컬에 있는 JS 파일 웹뷰에서 동적으로 실행하기 hooni 2015.02.10 958
593 Develop [ios] 문자열로 함수 실행하기 (eval 함수처럼) hooni 2015.02.10 860
592 Develop [ios] 미스터피자(Mr.pizza) 어플 file hooni 2013.04.23 42633
591 Develop [ios] 배열(NSArray) 연산과 간단한 애니메이션(split images) hooni 2013.10.31 45453
590 Develop [ios] 비동기 블럭 코드 예제 hooni 2014.11.21 825
589 Develop [ios] 비디오,네트워크,소셜로그인 테스트 file hooni 2017.04.04 694
588 Develop [ios] 상위 ViewController 가져오기 hooni 2015.10.12 960
587 Develop [ios] 새로 만들고 있는 DateMemo file hooni 2016.07.12 608
586 Develop [ios] 설정에서 푸시 알림(APNS) on/off 상태 확인 hooni 2015.04.28 2049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98 Next
/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