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청나라 황제인 강희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인재를 논할 때 반드시 덕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짐은 사람을 볼 때 반드시 심보를 본 다음 학식을 본다. 심보가 선량하지 않으면 학식과 재능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재능이 덕을 능가하는 자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결코 도움이 되지 못한다."


king01.jpg



어느 조직이건 성과와 성품을 축으로 4개의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성과와 성품이 모두 좋은 이들과 모두 나쁜 이들, 성과는 좋은데 성품이 나쁜 직원과 성품은 좋은데 성과가 나쁜 직원이다.


모두 좋은 직원은 걱정할 필요가 없고, 모두 나쁜 직원은 내보내는 식으로 대응하면 될 것이다.


다만, 성과가 좋은데 성품이 나쁜 직원과 성품은 좋은데 성과가 나쁜 직원, 이 둘 중 하나만 택하라면 누구를 내보낼 것인가.


이 질문에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은 주저 않고 "성과는 좋지만 성품이 나쁜 직원을 포기하겠다"고 말했다.

성과는 교육으로 나아질 수 있지만 성품은 현실적으로 교정이 힘들기 때문이다.




캐럴 드웩(Carol Dweck) 스탠퍼드대 교수는 조직에서 재능보다 도덕성에 가산점을 주는 채용절차를 거쳐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재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최고라는 생각에 성공가도를 당연시하고, 상황이 좋을 때만 빛을 발한다. 그러나 한번 상황이 나빠지기 시작하면 악화일로를 걷는다. 그리고 최고 브레인의 이미지가 실추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모험을 회피한다. 실패를 부인하고 남탓으로 돌린다. 그 결과 혁신이 힘들어진다."


king02.jpg


- 김성회 저, <용인술> 중에서 -




☞ 나의 생각


한 때 이런 생각을 했던 적이 있었다.


'결과를 내야하는 2차 집단인 '직장'에서 인품, 성품이 뭐 그리 중요할까? 결국 성과를 내는 사람이 더 중용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몇 번의 경험을 겪고 나서야 '결과를 내야 하는 조직'일수록 기본적인 인품, 성품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재능이 그 사람의 인품을 초과할 경우, 이는 모래위에 높은 누각을 쌓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


겉으로는 화려해 보일지 몰라도 기초가 부족하기에 제대로 된 한번의 위기에 무너지며, 그 무너짐은 조직 전체에 큰 피해를 준다. 때로는 자신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그 영민한 두뇌로 조직 전체에 해를 끼치기도 한다.

그 사람이 살아온 과정, 집안 내력, 말하는 모습이나 태도,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을 어떻게 지켜내는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하는 이유는, '능력' 보다 '인품'이나 '성품'을 알아채기가 더 힘든 까닭이다.


'다시는 내 배에 아무나 승선시키지 않겠습니다!' 라던 어느 젊은 사장님의 독백이 생각난다.


무협의 고수는 배움을 청하는 제자 후보에게 1년간 잡일을 시키지 않던가.


고수는 그 제자 후보가 오래도록 잡일을 무던히 해 내는가를 지켜보면서 그의 인내심, 자제력, 생각의 그릇을 시험하고, 그 시험에 통과한 뒤에야 극강의 비급을 전수해 준다. 그래야 사고가 생기지 않기에...



[출처] http://wsj.postype.com/post/2064/



?

  1. 누나와 앵무새

    어머니께서 지병으로 누워 계신지 몇 해가 지날 무렵이었습니다. 그런 어머니가 어느 날,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곱게 빗어 쪽진 뒤 우리 남매를 불러 앉혔습니다. 마치 돌아오지 못할 여행이라도 떠나는 사람처럼 얼굴에 슬픔이 가득했습니다. 그리고 어머니께...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84
    Read More
  2. 주어진 삶에 대처하는 자세

    한 가정에 두 명의 형제가 있었다. 형제의 아버지는 심각한 알코올 중독자였다. 형제의 집에는 술 취한 아버지를 향한 어머니의 고함, 그런 어머니를 향해 퍼붓는 아버지의 주사. 그리고 웃음기 없는 얼굴로 하루를 버텨가는 형제의 모습만 있을 뿐이었다. 그...
    Date2015.08.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78
    Read More
  3. 일본 디즈니랜드 동반자살하는 가족들의 공통점

    어떤 한국사람이 일본 여행을 다녀왔는데 가이드랑 한 방을 쓰게 됐답니다. 가이드랑 친해져서 이런저런 얘기 하다가 가이드가 하는 말이.. 자기가 이 일을 오래 해보니까 느낀 게 사람들이 자살을 너무 많이 한다. 특히 가족 동반 자살이 많은데 일본에 디즈...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800
    Read More
  4. 영혼의 존재를 밝히려는 실험#2

    뇌사에서 깨어난 사람의 유체이탈 경험담을 토대로 실험을 함. 환자가 알 수 없는 높은 곳에 특정 사진을 비치 뇌사 후 깨어난 환자에게 물어봄.. [참고] 이전 스크랩한 글. 영혼의 존재를 밝히려는 실험#1 내용(HTML 복사) https://hooni.net/xe/60757 질량 ...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426
    Read More
  5. 단재-신채호님의 불세출의 명언

    우리나라에 부처가 들어오면 한국의 부처가 되지 못하고 부처의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공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공자가 되지 못하고 공자를 위한 한국이 된다. 우리나라에 기독교가 들어오면 한국을 위한 예수가 아니고 예수를 위한 한국이 되니, 이 ...
    Date2015.08.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49
    Read More
  6. 프로그래머의 윤리학 / 임백준

    [한겨레] 마틴 파울러는 2010년 열린 어느 콘퍼런스에서 ‘도구와 테크놀로지를 넘어서’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 프로그래머의 윤리학을 다룬 내용이었다. 기술적인 내용이 아니었지만 파울러가 워낙 유명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참석해서 강의를...
    Date2015.08.0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36
    Read More
  7. 돈이 내게 행복을 사줄 수는 없지.

    "돈이 내게 행복을 사줄 수는 없지. 하지만 그래도 저택에서 울고 싶어." 마저마저 ㅠㅠ;
    Date2015.08.0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65
    Read More
  8. 책속의 문장(14) 성과는 좋지만 성품이 나쁜 직원을 포기하겠다.

    청나라 황제인 강희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인재를 논할 때 반드시 덕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짐은 사람을 볼 때 반드시 심보를 본 다음 학식을 본다. 심보가 선량하지 않으면 학식과 재능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재능이 덕을 능가하는 자는 나라를 ...
    Date2015.08.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25
    Read More
  9. "당신이 지금 먹는 것은 음식 쓰레기"

    "악식" 황교익 선생 어록 BEST 10 #1. "치킨은 보수다" "치킨은 맛있는 음식이야. 한국인이면 당연히 맛있다고 생각해야 해. 외국인들도 한국 치킨 먹는대잖아, 대한민국 치킨을. 대한민국을 자랑스럽게 생각해야 해." 그러니 치킨은 보수이다.관련기사 : 스토...
    Date2015.08.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57
    Read More
  10. '1만 시간의 법칙' 틀렸다..결국 선천적 '재능'이 중요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타고난 재능을 이길 수 없다는 조금 씁쓸한 소식! 1만 시간의 법칙이란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2009년 발표된 책 '아웃라이어'에 나오는 얘기인데, 자신의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선 선천적 재능보다 1만 시간의 노력이 더 중요...
    Date2015.08.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40
    Read More
  11. 엄마보다 아빠가 아이들과 더 잘 놀아줘야 하는 이유

    By Sue Shellenbarger LINZIE HUNTER FOR THE WALL STREET JOURNAL 오하이오 주 켄트스테이트대학의 캐스린 컨스 심리과학 교수는 자신의 실험실에서 30명의 청소년 및 아동이 부모에 대해 얘기하도록 했다. 컨스 교수 연구진이 부모와 자녀 간의 유대감을 평...
    Date2015.08.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45
    Read More
  12. 가족의 경제력이 내 아이 성공과 직결

    By JONAH LEHRER Getty Images 부모의 결정은 얼마나 중요할까? 대부분의 부모들은 어떤 탁아소에 아이를 맡길지부터 몇시간 동안 비디오 게임을 하도록 허락해야할지에 이르기까지 가장 소소한 부모의 선택조차 아이의 성공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Date2015.08.06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3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