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FreeTalk
2017.09.28 09:42

명태의 다양한 이름들

조회 수 6896 댓글 0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태,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명태’의 다양한 이름


‘맛 좋기로는 청어요, 많이 먹기로는 명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명태’는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어 온 생선이다. 


12월에서 1월이 제철인 명태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겨울철 부족한 단백질 공급원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명태에는 성장과 생식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 비타민A, 칼슘 등은 물론, 두뇌발달, 시력 보호, 주름 방지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나이아신, 레티놀도 풍부하게 들어있다.


흔히 버릴 게 하나도 없는 생선이라 불리는 명태는 살은 물론 머리, 껍질, 내장까지 모두 이용할 만큼 먹는 방법이 다양하다. 명태는 다양한 조리법만큼 이름도 많은데, 가공법이나 잡는 시기 등에 따라 달리 부르는 별칭이 수십 가지가 넘는다.


pollack01.jpg


생태,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명태’의 다양한 이름

다양한 이름으로 사람들을 헷갈리게 하는 ‘명태’지만, 명태의 이름에 관한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학자들은 명태의 이름이 조선 후기에 붙여졌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그 이전에는 대구과 물고기인 명태를 대구와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명태가 공식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효종 3년(1652년) 승정원일기로 ‘강원도 지방에서 진상하는 대구 알젓에 명태 알이 섞여 있어 해당 관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명태’라는 이름의 기원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이유원이 쓴 ‘임하필기(林下筆記, 1871년)’의 “함경도 명천(明川)에 사는 태(太) 씨 성을 가진 어부가 물고기를 잡았는데, 이름을 알 수 없어 명천의 '명'과 어부의 성을 따 '명태'라 했다”는 설이 가장 많이 알려졌다.


명태의 수많은 이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생태’, ‘동태’, ‘황태’, ‘북어’, ‘코다리’, ‘노가리’ 정도다. ‘생태’는 갓 잡아 싱싱한 상태의 명태, ‘동태’는 꽁꽁 얼린 명태다. ‘황태’는 눈밭 덕장에서 얼렸다 녹이기를 반복하며 노랗게 말린 명태고, ‘북어’는 바닷바람에 바싹 말린 명태, ‘코다리’는 내장과 아가미를 빼고 코에 꿰어 반건조한 명태를 말한다. 술안주로 많이 먹는 ‘노가리’는 새끼 명태를 바싹 말린 것이다.


pollack02.jpg


생태,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명태’의 다양한 이름

명태는 한때 산처럼 쌓일 정도로 많이 잡힌다고 해서 ‘산태(山太)’라고 불렸던 생선이지만, 요즘은 근해에서 거의 잡히지 않아 가격이 금처럼 비싸다고 해서 ‘금태(金太)’라고 불리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해양심층수산자원센터가 세계 최초로 명태 완전 양식에 성공했다고 하니, 머지않아 명태를 다시 산태라 부를 날이 오지 않을까 기대해볼 만하다.




?

  1. 순간 순간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딸 아이가 자랄수록 예전 사진을 보면서 지금과 비교하면 여러 감정이 새록새록 떠오른다. 조그만게 꼼지락 꼼지락 뭔가 해내는 것을 보면 신기하고 대견하고 고맙다. 모든 것이 다 때가 있다는 말이 떠오르면서 부족했던 부분은 아쉽고 미안하기도 하다. 특...
    Date2019.05.1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35
    Read More
  2. 수강신청 내용 (2016년 1학기)

    # 수강신청 및 정정기간 (2016년 1학기) - 수강신청 기간 : 02/23(화) 09:00 ~ 02/25(금) 18:00 - 정정 기간 : 03/07(월) 09:00 ~ 03/08(화) 18:00 # 수강신청 사이트 http://sugang.korea.ac.kr/graduate/ # 관련 공지 http://wizard.korea.ac.kr/user/indexS...
    Date2016.03.08 CategoryHogoo Byhooni Views388
    Read More
  3. 수강신청 내용 (2015년 1학기)

    # 수강신청 및 정정기간 - 수강신청 기간 : 02/25(수) 09:00 ~ 27(금) 18:00 - 정정 기간 : 03/06(금) 09:00 ~ 03/09(월) 18:00 # 수강신청 사이트 http://sugang.korea.ac.kr/graduate/ # 관련 공지 http://wizard.korea.ac.kr/user/indexSub.action?framePat...
    Date2015.02.23 CategoryHogoo Byhooni Views589
    Read More
  4. No Image

    수강신청 내역 (2016년 2학기)

    # 수강신청 및 정정기간 (2016년 1학기) - 수강신청 기간 : 2016년 8월 25일(목) 09:00 ~ 8월 29일(월) 17:00 - 수강신청 정정기간 : 2016년 9월 7일(수) 09:00 ~ 9월 8일(목) 17:00 # 수강신청 사이트 http://sugang.korea.ac.kr/graduate/ # 관련 공지 http:...
    Date2016.09.01 CategoryHogoo Byhooni Views405
    Read More
  5. 송송커플 사주 풀이

    송중기와 송혜교 커플의 사주/궁합을 보고 이혼을 예측한 풀이 [사주풀이] https://m.blog.naver.com/nowonlsh/221093229041 [관련기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6271507077639
    Date2019.06.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955
    Read More
  6. 소리로 분별하는 자동차 고장증상

    소리로 분별하는 자동차 고장증상 ▪ 시동끌때/시동켤때 키리릭 하는 소리 - 엔진미미(엔진미션마운트) 철판덥게 떠는 소리/렌치로 죠여주면 소리없어짐/그래도 소리나면 미미교환 ▪ 추울때 아침에 시동걸면 쇠 굴러가는 소리 - 워터펌프 베어링마모로 인한 소...
    Date2013.07.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0659
    Read More
  7. 소니는 어떻게 부활했는가?

    역시 기술회사는 기술로 먹고 살아야 멋있다. 보면 볼 수록 삼성은 기술 회사 아닌 거 같음.
    Date2017.11.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23
    Read More
  8. No Image

    소녀이야기 완전판 720p (Animation 'Herstory' Full Version)

    초경도 시작하지 않은 열다섯 서운이는 하루 종일 수 십 명에게 강간을 당했다. 숫자를 세는 것도 포기했다. 바지를 반 쯤 내리고 줄을 선 아저씨들은 차례를 기다렸고, 서운이가 울면서 반항을 하면 가느다란 팔뚝에 아편 주사를 찔렀다. 아편 중독자가 되었...
    Date2014.01.1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459
    Read More
  9. 섹시한 영어 강사

    영어 강의도 이렇게 돼 가는..? ㅋㅋ 한 때 트래픽 때문에 홈페이지가 열리지 않기도 했다는.. 레드 잉글리시 홍보 동영상 ( http://www.redenglish.co.kr ) https://www.youtube.com/watch?v=w6PF7Gbzd2Y
    Date2014.07.3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433
    Read More
  10. 세종대왕 손녀의 비극적 일생

    # 경혜공주(단종의 누나)의 비극적 일생 - 7살 때 어머니 현덕왕후가 남동생(단종) 낳다가 사망. - 할아버지(세종)와 아버지(문종)의 극진한 사랑 받음. - 아버지(문종)가 재위 2년만에 병으로 사망. - 21살 때 계유정난, 남동생(단종)은 유배됨. - 수양대군(...
    Date2016.05.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93
    Read More
  11. 세종 때 조선의 출산휴가

    사대부.. 콱그냥!
    Date2014.10.1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58
    Read More
  12. 세월호와 하인리히 법칙

    세월호와 하인리히 법칙 노응근의 '여적' 대형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크고 작은 조짐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1 대 29대 300 법칙’, 또는 ‘하인리히 법칙’이다. 대형 사고가 한 건 터지기 전 경미한 사고가 29회 발생하고, 이런 ...
    Date2014.05.0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22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