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FreeTalk
2019.01.12 08:00

한국이 IT 강대국이라고..?

조회 수 869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logo01.jpg


LTE, 5G, ... 세계 최초 상용화?

이런 기사 제목은 마치 LTE, 5G, ... 그런 기술들을 최초로 만든 것 처럼 보이게 한다.

언론이나 주변 지인들은 그래서 한국이 IT 강대국이라고 말하곤 하는데 내 생각에 한국은 그냥 IT 테스트배드/마루타일 뿐이다.


왜냐면 정작 중요한 원천 기술이나 최신 기술은 실제로 다른 나라에서 만들기 때문이다.

단지 한국은 그걸 빠르게 상용화 할 뿐이니까..

최근 유행하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매커니즘도 마찬가지로 응용(상용화)에만 불이 붙어서 가상화폐와 AI 스피커를 찍어내기 바쁘다. 베끼는 건 엄청 빠르게 잘 한다. 결코 카피캣 일본이나 중국을 욕할 처지가 아니다.


그 와중에 "빠르게"가 가능한 이유도 참 슬프다.

1. S/W 개발 단가가 낮고, (소프트웨어? 공짜 아냐? 초년생의 열정페이 너한테 도움되는거야)

2. 실무자를 쥐어짜기 때문.. (개발자 일주일은 월화수목금금금)

3. 서로 경쟁하는 문화 (통신사 LTE 전국망 먼저 설치하려다.. 설치기사 과로사)

4. 국토 면적이 작다. (높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도 그래서 가능하다)


정작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굳이 서둘러 상용화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하는 것 뿐이다. 사회 정서상 소비자의 니즈가 없어 투자 대비 큰 혜택을 볼 수 없거나 그 나라의 지리적 환경 자체가 그렇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땅 덩어리가 워낙 커서 초고속 유선 망을 구석구석 설치할 수 없는 것이고, 대중교통 이용률이 낮으니 교통 인프라에 적용하는 것을 서두르지 않는 것이다.


반면, 효용 가치가 높거나 꼭 필요한 것은 필요한 시점에 빠르게 구축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톨비 정산 시스템, 인터넷 결제, 핀테크 기술, 관광지의 자전거와 세그웨이 임대 시스템 등의 기술과 서비스들은 한국보다 빠르게 구축 되어 왔다. 심지어 한국보다 더 잘 만들었다^^;

미국에 와서 살면서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특히 악명 높은 캘리포니아의 DMV(차량 관련 업무)라도 사용자에게 돈을 받는 프로세스와 인프라는 참 편리하게 잘 구축되어 있는 것 같다. 이것만 봐도 분명 못해서 안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한국은 겉만 번듯하고 속은 정체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세상은 바뀌고 있고 IT 선진국들은 소프트웨어를 강조하지만 한국은 아직도 소프트웨어보다 메모리 만드는 일만 중요하다 생각한다. 물론 자랑스러운 일이라서 그럴지도 모르지만 다음 먹거리도 얼른 찾아야 하지 않을까?

10여 년 전 어느 보안 회사에서 침입탐지시스템(IDS) S/W를 3천만원에 팔았는데..

주변 반응은 "무슨 S/W가 3천만원 씩이나 하냐"며 너무 비싸다는 것이었다.

결국 그 회사는 H/W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 깡통 서버에 Linux와 자사 S/W를 설치했고 이걸 5천만원에 팔았더니 반응이 좋았다는 것이다.

Linux 설치된 깡통 서버를 끼워팔면서 2천만원이나 더 받아먹었는데도 말이다.

그만큼 소프트웨어 보다 하드웨어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의미가 아닐까?


그리고 소프트웨어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질 수 없어서 그런 것인지 관련된 것들 모두 너무 쉽게 생각한다. 어쩔 수 없이 건물을 짓는 과정과 비교되고 그렇게 설명되곤 하지만 명백히 다른 것들도 많다. 예를 들어 1명이 10일 걸리는 일이라면 10명이 하면 하루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계산 법은 건물을 짓는 프로세스에는 가능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적용할 수 없는 계산이다.

나는 이 문제가 실무와 능력 위주의 커리어 패스가 없고, 학벌과 출신성분으로 관리자가 선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왜냐면 경영학이 중요하고 요율만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S/W의 생태계나 실무도 모르고 관련 안목 자체가 없는 관리자가 관리를 하니까 ㅋㅋㅋ


A : 중국이 억대연봉을 주고 우리 연구원들을 뺏어가요.

B : 그럼 님도 억대연봉을 줘요.

A : 그건 싫네요.

B : ???


A : 52시간제 때문에 밤에 일할 애가 없어요.

B : 그럼 밤에 일할 애를 뽑아요.

A : 그건 싫네요.

B : ???




?

  1. 다른 각도에서 찍은 사진들

    나도 저렇게 찍어봐야지.. ㅋㅋ
    Date2016.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22
    Read More
  2. 집수리 하다가 고대 도시 발견함

    그는 집수리를 하려고 구멍을 파기 시작했다. 그 때 집터 밑에서 엄청난 것이 나왔다. 어떤 사람들은 지하실에 와인병을 보관하기도 하고, 심지어 조부모에게 물려받은 가보를 보관하기도 한다. 하지만 터키에 사는 한 남성은 지하실에서 상상하지도 못했던 도...
    Date2016.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755
    Read More
  3. 그리마를 죽이지 마세요.

    앗! 해충이 아니었구나!!
    Date2016.05.3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40
    Read More
  4. 닭도리탕은 순수한 우리말 이름이다

    식품 정보가 TV나 언론 매체를 통해 대중에게 마구잡이로 전파돼 과학적 근거가 없는 내용들이 정설인양 굳어진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폐해는 매우 심각해 우리나라 식품의 세계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고추가 임진왜란 때 들어왔다는 근거 없는 망설이 ‘우...
    Date2016.05.3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459
    Read More
  5. '산성비 맞으면 대머리?' 한국에만 있는 이상한 괴담 5가지

    각 나라에는 괴담이 있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자살한 학생의 룸메이트에겐 A를 준다'라는 말이 있고 독일에는 예전에 '맛있는 맥주에는 사람 손가락이 들어있다'라는 설이 있었다. 물론 이제는 아무도 믿지 않는 거짓말이다. 한국에는 '밤에는 손톱을 깎으...
    Date2016.05.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44
    Read More
  6. '클립보드에 독을 타는 해킹공격 기법 발견'... 인터넷서 터미널 명령어 복사할 때 주의 필요

    사용자의 부주의한 터미널 명령어 사용으로 맥의 보안이 뚫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보안업체인 '멀웨어바이츠(Malwarebytes)'는 27일 웹사이트에서 터미널 명령어를 복사하고 입력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공격 기법이...
    Date2016.05.3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00
    Read More
  7. 안철수가 지운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 희생자 관련 트윗이 정말 최악인 이유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의 트윗 하나가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30일 밤,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수리작업 도중 숨진 노동자 A씨(19)를 언급하며 트윗 세 개를 올렸다. 9시49분에 올라온 첫 번째 트윗에는 큰 문제가 없었다. 문제는 그...
    Date2016.06.0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54
    Read More
  8. '개판 오분 전'의 어원

    아수라장 같이 어수선한 상황에 쓰는 표현으로는 알고 있었는데.. 정확한 뜻과 어원은 이렇다고 한다. 개판 5분 전의 개판은 '열 개(開)'에 '널조각 판(板)'으로서 나무널로 된 솥뚜껑을 연다는 뜻. 한국전쟁 당시 피난촌(부산)에서는 각지에서 몰려온 피난민...
    Date2016.06.03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063
    Read More
  9. 지식의 정석 ㅋㄷ;

    상식 대공황.. 흔히 잘못 알고 있는 단어나 어원들 ㅋㅋ #01 호텔의 '스위트 룸' 'sweet room' 이 아니라 'suite room' #02 야구의 '콜드게임' 'cold game'이 아니라 'called game' #03 농구골대의 '링' 'ring'이 아니라 'rim' #04 밭에 물을 뿌리는 장치 '스...
    Date2016.06.07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535
    Read More
  10. 베르나르베르베르 "웃음" 중에서..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인생.. 2세 때는 똥오줌을 가리는 게 자랑거리. 3세 때는 이가 나는 게 자랑거리. 12세 때는 친구들이 있다는 게 자랑거리. 18세 때는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는 게 자랑거리. 20세 때는 섹스를 하는 게 자랑거리. 35세 때는 돈이 많...
    Date2016.06.0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359
    Read More
  11. 미국 MIT 공대 입학시험 (1869년)

    물론 150년 전 대입 수준이니 현재에 비해 많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 할 수도 있지만, 100년 전 미국의 공학 기술의 수준을 생각해보면 이야기가 완전히 달라진다. 대학 입학때 이정도로 간단한 수학계산 능력만 있어도 학부 때 미적분 다 배우고 온갖 ...
    Date2016.06.10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51
    Read More
  12. SNS에 중독된 현대인 풍자한 일러스트

    via (좌) Joey Klarenbeek (우) asafhanuka / Boredpanda "스마트폰으로 당신은 더 스마트해졌는가?" 스마트폰을 통해 빠른 정보를 습득하고 가까운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든 연락을 하는 등 이전과는 180도 다른 삶을 살게 됐다. 손에 든 장난감 마냥 자유롭...
    Date2016.06.11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121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