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조회 수 5885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이를 키우는데 자주 되새겨야할 이야기이다.
부모의 작은 행동 하나 하나가 아이에게는 큰 영향력이 있다.
바르고 곧은 아이로 자랄수 있도록 바라지만 말고, 부모가 노력해야한다.

1. 아이를 안정시키고 싶다면
하루에 한 번 이상 껴안 아 주어라. 다 큰 아이들도 안아주고 엉덩이 토닥여주면 정말 좋 아한다. 말썽을 부리거나 문제가 있는 아이라면 더 자 주 안아주어야 한다. 부모가 따뜻하게 안아 주다 보면 행동이 수정되고 정서 적으로 안정이 된다.

2. 공부 잘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에 한 번 이상 ‘사랑한다’ 말 하라. 자녀가 중학교 정도 올라가면 부모들은 자신들이 아 이에게 가졌던 꿈들이 얼마나 허망한 것이었는지 깨닫 게 된다. 학원이나 공부방을 종일 순례한다고 성적이 좋아지지않는다. 자녀에게 진심을 담아 사랑한다고 말하자. 아이들은 자 신을 사랑하는 부모 마음을 기쁘게 해드리기 위해서 라도 더 열심히 노력한다.

3. 최선을 다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에 한 번 이상 고맙다고 말 하라. 고맙다는 말이 고마움을 불러온다. 부모가 자신에게 고마워한다는 것을 아는 아이는 모든 일에 최선을 다 하게 된다.

4. 아이에게 동기부여를 하고 싶다면
하루에 한 번 이 상 칭찬하라. “지 난번에 네가 올백 맞아서 엄마가 아빠한테 얼마 나 칭찬을 들었는지 몰 라.” 이런 식의 칭찬은 다음에도 그와 같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는 부담을 갖게 한다. 결과중심이 아니라 과정과 노력에 대해 칭찬해야 한다. ‘칭찬 할 거리가 있 어야 칭찬하지’ 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 나의 창을 낮추면 칭찬할 거 리가 많다. 욕심이 없으면 고맙다는 말도 절로 나오고, 칭찬할 거리도 무수히 많이 보인다.

5. 뛰어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에 한 번 이상 웃게 하라. 여성이 더 오래 사는 이유는 잘 웃기 때문이다. 웃음 은 만병통치약이다. 또한 웃 음은 리더십과 두뇌활동을 왕성하게 한다. 자녀를 수시로 웃게 하라.

6. 자기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 에 한 번 이상 놀 아주어라. 아이와 놀아주는 것도 때가 있다. 하루에 한 번, 1분 이라도 진 심을 다해 놀아주어야 한다. 손바닥밀치기나 손가락씨름 등 놀이도 좋고 사춘기 자녀라면 가끔 아이와 집 앞 공원 에 가서 고민을 들어주고 대화 하는 것도 좋다. 시간이 여유롭다면 둘이서 여행하는 것도 좋다. 아이와 놀아주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 수도 있다. 하지만 ‘저 아이가 축복의 선물 이지’ 라고 생각하면 힘든 줄도 모를 것이다.

7. 정직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에 한번 이상 눈 을 보며 이야기를 나눠라. 아이의 손을 잡고 눈을 보면서 이야기하면 아이가 솔 직해질 수 밖에 없다. 눈을 보고 편안하게 얘기하면 아 이는 자기의 잘못을 스스로 끄집어낸다. 아이들은 나를 받아주는 사람에겐 마음을 털어놓게 되어 있다.

8.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로 키우고 싶으면
하루에 한 곡 이상 좋은 음 악을 들려주어라. 클래식을 통해 음악고 악기에 흥미를 갖게 하면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된다.아무리 좋은 음악이라고 해도 어 느 날 갑자기 ‘음악 듣자’ 하면 아이는 음악을 듣는 일이 즐겁지 않을 것이다. 이는 가족들이 늘 함께하는 분위기였을때 가능하다.

9.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하루에 30 분 이상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어 라. 책을 읽는 게 좋다는 걸 모르는 부 모가 있을까. 하지 만 아무리 좋은 일이라 하더라도 일방적으로 명령하거 나 지시해서는 안 된다. 부모는 컴퓨터나 TV에 빠져 있으면서 자녀에 게 책을 읽으라고 하면 절대 읽지 않는다. 뭐든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TAG •

?

  1. No Image

    각 게시판 글쓰기 권한 조정함(Revise writing privileges).

    광고 글을 막기 위해 각 게시판에 글쓰기 권한을 조정했습니다. Revise writing privileges to prevent advertising article.
    Date2013.10.07 CategoryNews Byhooni Views7160
    Read More
  2. 뽀대나는 로그인 화면 html 긁어옴

    이담에 써먹어야지 ㅋㅋ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113
    Read More
  3. No Image

    美언론인 "모든 부모는 자녀를 편애한다"

    美언론인 "모든 부모는 자녀를 편애한다" [연합] 입력 2011.09.28 17:14 모든 부모는 여러 명의 자녀 가운데 누군가를 편애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 기자이자 작가인 제프리 클루거가 신간 '형제·자매의 영향(The Sibling Effect)'에...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103
    Read More
  4. [펌] 높은 연봉의 프로그래머와 스타트업

    퍼오긴 했지만.. 난 이 글의 첫 문단을 제외하고는 전적으로 반댈세! ㅋㅋ 이유야 많지만 차분히 쓰기로 하고.. 일단 스크랩!! #원문 우수한 프로그래머에게 그 수준에 합당한 급여를 제공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단순히 도의적인 차원에서 그렇다는 ...
    Date2013.08.12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83
    Read More
  5. No Image

    신에 대한 길고 긴 고찰..

    교수: 자네는 크리스찬이지? 학생: 네, 교수님. 교수: 그래, 자네는 신을 믿는가? 학생: 물론입니다, 교수님. 교수: 신은 선한가? 학생: 그럼요. 교수: 신은 전능한가? 학생: 네. 교수: 내 동생은 신께 고쳐달라고 기도했지만 암으로 죽었네. 대개의 사람들은 ...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75
    Read More
  6. 인류를 달에 보낼 수 있었던 마거릿 해밀턴의 코딩 능력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가장 기본으로 배우는 것이 바로 C언어 인데요. 이 C언어는 1972년 벨 연구소의 켄 톰슨과 데니스 리치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래밍언어 입니다. 하지만 이보다 수년이나 앞선 1960년대, 소프트웨어란 용어조차 없었던 시기에 프로...
    Date2018.04.0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38
    Read More
  7. 무슨 헌금 종류가 이렇게나 많아? ㅎㅎ

    세금도 안내면서 무진장 걷어 제끼네.. (게다가 일본 압잡이 노릇 해주는 댓가로 세금 면제해 준 게 지금까지 내려온거고..) 이거 다 내야 천국 가는거임? ㅋㅋ
    Date2013.09.24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7008
    Read More
  8. 명태의 다양한 이름들

    생태,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명태’의 다양한 이름 ‘맛 좋기로는 청어요, 많이 먹기로는 명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명태’는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어 온 생선이다. 12월에서 1월이 제철인 명태는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겨울철 부족한 ...
    Date2017.09.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885
    Read More
  9. 오나전 신기.. You are feel

    신기함...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858
    Read More
  10. No Image

    아이가 자는 동안 뇌가 하는 일들

    활발한 두뇌 활동이 이루어지는 렘(REM)수면 수면은 렘(REM)수면과 비렘(Non-REM)수면으로 나눈다. 렘수면은 '얕은 잠', 비렘수면은 '깊은 잠'으로 알려져 있는데 렘(REM)은 'rapid eye movement'의 약자로 뇌파가 잠시 졸고 있는 상태. 이때 우리 눈은 급속한...
    Date2013.11.05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841
    Read More
  11. 지식의 저주..

    내가 알고 있는 만큼 상대방도 당연히 알고 있을거라 믿는 지식의 저주 "지식의 저주"란 엘리자베스 뉴튼의 논문에 나오는 심리학 용어다. 엘리자베스 뉴턴은 1990년 스탠포드대학에서 간단한 놀이 관련 연구 논문으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땄다. 그녀는 "두드...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814
    Read More
  12. 어쩌면 우리는.. ㅠㅠ;

    이러지 않아야 하는데..
    Date2013.05.28 CategoryFreeTalk Byhooni Views68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80 Next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