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achment
Attachment '2'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청나라 황제인 강희제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인재를 논할 때 반드시 덕을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 짐은 사람을 볼 때 반드시 심보를 본 다음 학식을 본다. 심보가 선량하지 않으면 학식과 재능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재능이 덕을 능가하는 자는 나라를 다스리는 일에 결코 도움이 되지 못한다."


king01.jpg



어느 조직이건 성과와 성품을 축으로 4개의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성과와 성품이 모두 좋은 이들과 모두 나쁜 이들, 성과는 좋은데 성품이 나쁜 직원과 성품은 좋은데 성과가 나쁜 직원이다.


모두 좋은 직원은 걱정할 필요가 없고, 모두 나쁜 직원은 내보내는 식으로 대응하면 될 것이다.


다만, 성과가 좋은데 성품이 나쁜 직원과 성품은 좋은데 성과가 나쁜 직원, 이 둘 중 하나만 택하라면 누구를 내보낼 것인가.


이 질문에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은 주저 않고 "성과는 좋지만 성품이 나쁜 직원을 포기하겠다"고 말했다.

성과는 교육으로 나아질 수 있지만 성품은 현실적으로 교정이 힘들기 때문이다.




캐럴 드웩(Carol Dweck) 스탠퍼드대 교수는 조직에서 재능보다 도덕성에 가산점을 주는 채용절차를 거쳐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재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이 최고라는 생각에 성공가도를 당연시하고, 상황이 좋을 때만 빛을 발한다. 그러나 한번 상황이 나빠지기 시작하면 악화일로를 걷는다. 그리고 최고 브레인의 이미지가 실추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모험을 회피한다. 실패를 부인하고 남탓으로 돌린다. 그 결과 혁신이 힘들어진다."


king02.jpg


- 김성회 저, <용인술> 중에서 -




☞ 나의 생각


한 때 이런 생각을 했던 적이 있었다.


'결과를 내야하는 2차 집단인 '직장'에서 인품, 성품이 뭐 그리 중요할까? 결국 성과를 내는 사람이 더 중용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몇 번의 경험을 겪고 나서야 '결과를 내야 하는 조직'일수록 기본적인 인품, 성품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재능이 그 사람의 인품을 초과할 경우, 이는 모래위에 높은 누각을 쌓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


겉으로는 화려해 보일지 몰라도 기초가 부족하기에 제대로 된 한번의 위기에 무너지며, 그 무너짐은 조직 전체에 큰 피해를 준다. 때로는 자신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그 영민한 두뇌로 조직 전체에 해를 끼치기도 한다.

그 사람이 살아온 과정, 집안 내력, 말하는 모습이나 태도,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을 어떻게 지켜내는가를 면밀히 관찰해야 하는 이유는, '능력' 보다 '인품'이나 '성품'을 알아채기가 더 힘든 까닭이다.


'다시는 내 배에 아무나 승선시키지 않겠습니다!' 라던 어느 젊은 사장님의 독백이 생각난다.


무협의 고수는 배움을 청하는 제자 후보에게 1년간 잡일을 시키지 않던가.


고수는 그 제자 후보가 오래도록 잡일을 무던히 해 내는가를 지켜보면서 그의 인내심, 자제력, 생각의 그릇을 시험하고, 그 시험에 통과한 뒤에야 극강의 비급을 전수해 준다. 그래야 사고가 생기지 않기에...



[출처] http://wsj.postype.com/post/2064/


?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799 FreeTalk 정확한 음절로 숨어있는 받침소리 내기 file hooni 2015.11.12 769
798 FreeTalk 정년까지 롱런하는 인재들의 특징 5 file hooni 2015.05.07 479
797 FreeTalk 점점 사라져가는 것들.. file hooni 2014.02.26 2792
796 FreeTalk 젊은 사람들이 지지하는 후보가 당선되지 않는 이유 hooni 2014.05.29 1698
795 FreeTalk 전세계에서 수돗물 마셔도 병원 갈필요 없는 나라 file hooni 2014.11.18 442
794 FreeTalk 전설이된 컴돌이 file hooni 2016.05.13 914
793 FreeTalk 전 연방의원의 "한국민주주의 후퇴 우려" 공개 편지 file hooni 2014.07.30 1090
792 FreeTalk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폰트 BEST5 file hooni 2018.08.21 1110
791 FreeTalk 재미있는 우리말 어원 file hooni 2014.02.19 3649
790 FreeTalk 장점이 단점이 되고, 단점이 장점이 될 수 있다. file hooni 2017.10.13 1049
789 FreeTalk 장강명 <표백> 일부 발췌 file hooni 2016.05.10 393
788 FreeTalk 잠이 많은 아기 다람쥐 file hooni 2015.11.26 483
787 FreeTalk 잘못 사용하고 있는 외국 속담, 표현 file hooni 2018.08.17 1180
786 FreeTalk 잘려고 하면 꼭 이런다 ㅋㅋ file hooni 2018.03.29 910
785 FreeTalk 작은 로딩 이미지 (나중에 써먹을지도 모름 ㅎㅎ) file hooni 2013.05.28 5986
784 FreeTalk 자존심과 거만함에 대한 짤 file hooni 2021.07.01 729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 60 Next
/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