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
2003.04.23 10:40

[c] 이진트리(binary tree)의 특성

Views 9608 Votes 0 Comment 0
Atachment
Attachment '1'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이진트리의 특성입니다.

tree_sample.gif

- 모든 노드들의 차수가 2이하.
-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를 구별한다.(일반트리 - 구별없음)
- 0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다(공집합). 
※정의: 이진트리는 공집합이거나 루트와 왼쪽서브트리,오른쪽 서브트리
       라고 부르는 두 개의 분리된 이진트리로 구성된 노드의 유한집합.

- 이진트리의 레벨 i에서의 최대 노드 수는 2의(i-1)승 (i>=1)이다.
- 깊이가 k인 이진트리가 가질 수 있는 최대 노드수는 2의 k승 -1(k>=0).
- 단말노드의 수 = 차수가 2인 노드수 + 1

※포화이진트리(full binary tree)
- 깊이가 k이고 최대 노드수를 갖는 이진트리
※완전이진트리(complete binary tree)
- 깊이가 k이고 노드수가 n인 이진트리가 만일 이 트리의 각 노드들이
  깊이 k인 포화이진트리에서 1부터 n까지 번호를 붙인 노드들과 일대일
  로 일치하면 이트리는 완전이진트리이다.


완전 이진트리가 깊이와 순서에 따라 표현되어 있을 때 인덱스
i (1<= i <=n)인 모든 노드에 대하여 다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 i != 1 이면 i의 부모노드는 i/2의 위치에 있게된다.
2) 2i <= n 이면 i의 왼쪽 자식은 2i의 위치에 있게된다.

    만일, 2i > n 이면 i는 왼쪽 자식을 가질 수 없다.

3) 2i+1 <= n 이면 i의 오른쪽 자식은 2i+1의 위치에 있게된다.

    만일, 2i+1 > n 이면 i는 오른쪽 자식을 가질 수 없다.

?

  1. [c] 소켓의 세가지 동작모드

  2. [c] 컴파일러 DFA구현^^ 입력 받아 실행

  3. [c] OpenGL 시어핀스키 가스킷(p.73 - 첫시간)

  4. [c] 시어핀스키 가스킷..(p.582, A.2 - 두번째)

  5. [c] 약수/최대공약수/완전수 알고리즘

  6. [c] 프로그래밍의 전반적인 설명 ppt

  7. [jsp] HelloServlet 출력문

  8. [jsp] Get방식, Post방식 전송 예제..

  9. [c++] 기초강좌 #01(입출력,영역지정)

  10. [c++] 기초강좌 #02(레퍼런스,메모리할당)

  11. [c++] 기초강좌 #03(함수의 매개변수 전달)

  12. [c++] 기초강좌 #04(클래스)

  13. [c] C로 구현한 CGI - 방명록

  14. [c] C로 구현한 CGI - 계산기 (링크리스트, 스택, 이진트리)

  15. [c] C로 구현한 CGI - 달력과 날짜계산기

  16. [jsp] 유효성체크(Client, Server 에서)

Board Pagination Prev 1 3 4 5 6 7 ... 53 Next
/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