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
2013.04.23 12:41

[security] RSA 암호화 설명과 예..

Views 16618 Votes 0 Comment 0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암호화와 복호화에 앞서 거쳐야 할 기본적인 과정임~

1) 적당히 비슷하고 큰 소수 p, q를 구함
2) 공개키 n을 생성 (n=pq)
3) φ를 구함 φ = (p-1)(q-1)
4) gcd(s,φ)=1을 만족하는 즉 서로 소인 또다른 공개키 s를 생성합니다. 1< s < φ
5) 유클리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비밀키 d를 만듦 d = s^-1 (mod φ) (sd≡1 (mod φ) 를 구하는 것. 무엇을 선택하든 상관없음) 를 구하는 것 1< d < φ

※ 확장된 유클리드 알고리듬으로 정수 d를 구하는 법
t_0 = 0
t_1 = 1
t_j = t_(j-2)-q_(j-1)t_(j-1) mod r_0 (단, j≥2)

위 방법을 이용하여 d를 구한다.


암호화) n보다 작은 수로 메세지 M을 정한 다음,암호문 c = M^s (mod n) 을 계산하여 암호문 c를 보낸다.
복호화) M = c^d (mod n)을 사용해 복호한다.

예를 들어..
1) 소수 5와 7을 골랐다면..
2) 공개키 n=35를 만들게 됨.
3) φ=24를 구함.
4) 24와 서로소인 11=s를 구함.
5) 현재 공개키 (n,s) = (35,11)을 구함.
6) 비밀키 d를 구함.

d = 11^-1 (mod 24)
확장된 유클리드 알고리듬의 적용.

11^-1 (mod 24) --- 주어진 식

24 = 2*11+2(=r1)
--- 24(=n)를 앞의 11(=s)로 나누어 몫과 나머지 형태로 나타낸 것. n = q(=몫)*s+r1(=나머지1)

(t_2)0-2*1 (mod 24) = -2 (mod 24) = 22(=r2) (mod 24)
--- t_(2-2)=0이므로 0-2(=q)*1(t_(2-1)=1) (mod 24) = -2 (mod 24) = 24-2 (mod 24) = 22 (mod 24)

11 = 5(=q2)*2(r1)+1(r3) 
---s를 앞에서 나온 나머지 r1으로 나눈 것입니다. 검산식 형태. (현재 여기서는 나머지가 1이 나왔기 때문에 유클리드 알고리듬은 끝이 난 것입니다.)

(t_3)1-22*5 (mod 24) = -109 (mod 24) = 11 (mod 24)
--- 1(=t_(3-2)) - 22(r2)*5(q2) (mod 24) = -109 (mod 24) = 24*5-109 (mod 24)=11(mod 24)

따라서 d = 11.
암호화) 메세지 3을 암호화 해본다. 암호문 c = 3^11 (mod 35) = 12
복호화) 암호문 12를 복호화 해본다. 메세지 M = 12^11 (mod 35) = 3.

복호화가 제대로 되었다.
중요 포인트는 확장된 유클리드 알고리듬을 적용할 때, 나머지가 1이 나올 때까지 계속 반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서 φ는 φ(n)을 뜻하는 오일러 함수 값) 

RSA는 공개키라고 해서 서버가 암호를 가지고 있다가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하면 그 암호를 보내줌.
그럼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그 암호를 이용해 서로서로 확인을 함.

공개키와 수신자의 개인키가 암호화/복호화 과정에서 이러한 공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단에서 End User가 알기는 힘듦.
수신자가 암호화 알고리즘을 알 필요도 없고 알수도 없고, 수신자의 개인키가 복호화를 하기 때문..

?

List of Articles
No. Category Subject Author Date Views
837 Develop [c] 소켓 프로그래밍 요약.. hooni 2003.04.23 6971
836 Develop [c] 소켓의 세가지 동작모드 hooni 2003.04.23 6911
835 Develop [c] 소켓주소 구조체에 대해.. hooni 2003.04.23 6731
834 Develop [c] 숫자 맞추는 게임.. file hooni 2013.04.23 6932
833 Develop [c] 숫자(int, Number)를 hex코드로 변환하는 소스 file hooni 2013.04.23 8122
832 Develop [c] 스택/힙 오버플로우 테스트(overflow) file hooni 2003.04.23 7324
831 Develop [c] 스토리지 클래스(변수) hooni 2003.04.23 8197
830 Develop [c] 시간 계산 하는 프로그램 소스코드 file hooni 2003.04.23 6746
829 Develop [c] 시간 관련 함수 설명과 예제.. file hooni 2003.04.23 11524
828 Develop [c] 시간(요일,날짜 포함) 출력하는 프로그램 초간단 코드 hooni 2013.04.23 7396
827 Develop [c] 시스템 보안 과제.. 시간(amc time) 변경 file hooni 2013.04.23 7194
826 Develop [c] 시스템공학 레포트 (pass1, pass2) file hooni 2003.04.23 7181
825 Develop [c] 시어핀스키 가스킷..(p.582, A.2 - 두번째) hooni 2003.04.23 7481
824 Develop [c] 신기한 atoi함수(www.game79.net) hooni 2003.04.23 7274
823 Develop [c] 심심해서.. fseek() 예제.. file hooni 2003.04.23 7229
822 Develop [c] 싱글, 더블 링크리스트(linked list)로 만든 예제.. file hooni 2003.04.23 6737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 74 Next
/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