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Chapter 2. TCP/IP protocol 의 계층

2-1. 네트워크 계층
프레임을 물리적인 회선에 올리거나 내려받는 역할을 한다.즉, 보내는 쪽<A>는 상위 계층 에서 받은 패킷을 프레임으로 만들어서 물리적인 회선에 올리게 되고, 받는 쪽<B>는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조잡한 프레임을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 네트워크 기반 기술
그림에서 보면 NDIS(Network Device Interface Specification)4.0을 기준으로 Internet layer과 Network layer로 구분된다.
NDIS4.0 표준에 의한 IP 프로토콜이 지원하는 Phisical layer는 LAN과 WAN으로 나누어진다.
I) LAN 관련 기반 기술
- Ethernet, Token Ring, FDDI
II) WAN 관련 기반 기술
- ATM, X25, Frame Relay
2-2. 인터넷 계층
Transport 계층에서 받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만 고려한다.패킷이 목적지에 제대로 도착되었는지, 데이터의 손상 여부에 대해서는 상위 계층에서 처리한다.
ICMP, IP, ARP가 이 계층에 속한다.
* ICMP(Internet Control Manage Protocol)
- 메시지에 대한 오류 보고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원래 호스트에게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 한다. ICMP제어 메시지는 IP패킷의 형태로 전달된다.
* IP(Internet Protocol)
- Data Segment를 Packet으로 만들어 이를 목적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달 여부를 보장하지 않는다.
[참고]router - Internet layer에서 원격 네트워크간 패킷의 전달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최적경로를 결정하는 역할과 결정된 경로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ARP(Address Resolusion Protocol) : 주소찾기 프로토콜
- IP protocol은 하드웨어 주소(Phisical 계층에서 MAC Address라고 하며 LAN card에 새겨져 있다)와 논리적인 할당에 의한 IP주소를 갖는다.
개별 호스트는 비록 독자의 IP주소를 할당받지만 실제의 데이터 전달은 하드웨어 주소 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 두 가지의 주소를 적절히 매칭시킬 필요가 있는데 동적으로 특정 프로토콜에 의해서 필요한 때마다 목적지 호스트의 하드웨어 주소를 찾는 것을 구 현한 것이 바로 ARP다.
2-3. 트랜스포트 계층
보내는 쪽 <A>는 데이터를 적절히 분할해서 일련 번호를 붙혀서 전달한다.받는 쪽<B>는 패 킷에서 분리된 segment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를 만들어서 이들을 응용 프로 그램 계층에 전달한다.
I)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지향(Connection Oriented)전송. 애러 정정과 흐름제어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잘못되거나 유실된 패킷이 있을 경우 원래의 호스트에 재전송을 요청한다.
안전성과 신뢰성이 뛰어나서 사용자 데이터 전송, 대용량 전송에 이용된다.
II)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Connectionless)전송. 에러 정정을 하지 않는다.
보통 시스템 내부 메시지 전달과 데이터 전달, 소규모 데이터 전송에 이용된다.
2-4. 응용 프로그램 계층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요청을 받아들여서 이를 적절한 메시지로 변환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I) winsock : 쉽게 설명해서 ‘야후’ 에 연결하고자 할 때 URL에 ‘http://www.yahoo.co.kr’ 이라고 쓸 것이다.
여기서 http가 인터넷 기반의 유틸리티로서 winsock을 통해 하위 프로토로 전달된다. http 외에 Telnet, gopher, ftp 등이 있다.
II) NetBIOS : net xxx 유틸리티가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든다면, 'net use Z:\\computer1\temp’ 의 경로를 지정하면 NetBIOS를 통해 하위 프로토콜로 전달된다.
(자세한 내용은 7장에서....)
Chapter#3 에서 계속..